『작법귀감(作法龜鑑)』은 주1및주2에 올리는주5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관한 작법 절차를 기록한 책이다. '재식을 행함에 일정한 격식이 없고 완전한 것이 없음'을 염려한 백파 긍선(白坡亙璇, 1767~1852)이 제자들의 부탁을 받아 지은 것이다. 이전에 사용하던 의식문의 오류와 결함을 교정아리스 토크 랏 슬롯 보충하여, 통일된 재공 의식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했다.
전라남도 장성군 운문암에서 간행한 불서로는 1825년(순조 25)에 간행한 『대승기신론소필삭기(大乘起信論疏筆削記)』와 1827년(순조 27)에 간행한 『작법귀감』 두 권이 있다. 이들 불서는 백파 긍선이 편찬아리스 토크 랏 슬롯 양진 거사(養進居士) 박치유(朴致維)가 출판한 방각본 불서이다. 이 두 불서의 끝에 ‘양진거사박치유서(養眞居士朴致維書)’라는 문구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태인 지역의 방각본 업자인 박치유가 백파 긍선의 저술을 맡아서 출판한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작법귀감』은 2권 2책의 목판본이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작법귀감』은 책머리에 편자의 서문이 있고, 본문 앞에 범례가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상권에서는 재공 의식 때 불법승 삼보(佛法僧三寶)를 청하는 삼보통청(三寶通請)의 예비 의식을 다루고 있다. 예비 의식은 향게(香偈) · 천수다라니 · 사방찬(四方讚) · 도량게(道場偈) · 참회게 · 참회진언 · 정삼업진언(淨三業眞言) ·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 건단진언(建壇眞言) ·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의 순으로 이루어진다고 작법의 절차를 서술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있다.
다음주3에서는 삼보를 우러르고 그 덕을 찬양하는 삼보통청을 한다. 이어 헌좌게(獻座偈) · 공양게 · 변식진언(變食眞言) · 감로수진언 · 유해진언(乳海眞言) · 육법공양(六法供養) · 보공양진언을 한 뒤 축원하는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서술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있다. 이상은 불전 재공의 통상적 의식이다.
그 다음으로 관음청(觀音請) · 지장청(地藏請) · 신중청(神衆請) · 산신청(山神請)의 의식이 뒤따른다. 또한 망령 등을 천도하는 의식인 대령정의(對靈正儀)에 대해 상세히 서술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있다. 이어 망인의 기일(忌日)에 따라 천도하는 상용시식의(常用施食儀), 망령에게 주7을 올리는 상용영반(常用靈飯), 망승(亡僧)에게 제사 드리는 종사영반(宗師靈飯), 주8에게 공양을 올리는 신중대례의 절차에 관하여 기술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있다.
그 외 미타청(彌陀請) · 독성청(獨聖請) · 성왕청(聖王請) · 조왕청(竈王請), 비구십계(比丘十戒)를 받는 의식, 비구니의 8경계(八敬戒) 등도 상권에서 서술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있다.
하권에는 불상의 점안식(點眼式), 나한(羅漢)의 점안식, 시왕(十王)의 점안식 및 분수(焚修) 작법과 가사 점안식 등의 의식 절차가 수록되어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작법귀감』은 조선 말 주6에서 각양각색으로 행해지던 작법의 절차를 정리아리스 토크 랏 슬롯 보충한 것으로 불교 의식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또한 태인 지역의 방각본 업자인 박치유가 백파 긍선의 저술을 맡아서 출판한 것이라는 점에서 출판 · 문화사적으로 의의가 있다. 한편, 이 책에는 주4의 고 · 저 · 청 · 탁을 가릴 수 있도록 4성(四聲)을 점(點)과 권(圈)으로 표시아리스 토크 랏 슬롯 구두점을 찍어 놓았는데, 이는 범어 연구의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