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풍주(豊州). 증조는 어사(御史) 임주(任澍), 조부는 서하군(西河君) 임자송(任子松), 아버지는 성균좨주(成均祭酒) 임경유(任景儒)이다.
1352년(공민왕 1) 밀직사지신사(密直司知申事)가 되고, 1355년 천추사로 원나라에 다녀온 뒤 밀직부사가 되었다.
이어 환관 김빠앤티므르[金伯顔帖木兒]의 거짓 왕지(王旨)로 내승제조(內乘提調)가 되었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태안군에 유배되고, 다시 제주에 이배되었다. 다시 기용되었으나 1356년 기철(奇轍) 등이 죽임을 당할 때 삭발하고 삼각산(三角山)에 숨었다가 붙잡혀 장형(杖刑)을 당하였다.
1365년 새로 집권한 ag 슬롯(辛旽)에 의하여 밀직부사에 복직되어 김란(金蘭)·목인길(睦仁吉)과 함께 궁중에서 서무(庶務)를 맡아 총애를 받았다. 이어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가 되어 성근익찬공신(誠勤翊贊功臣)의 호를 받았다.
ag 슬롯의 천거로 재상이 된 것을 부끄럽게 여겨 최영(崔瑩)·이구수(李龜壽) 등이 쫓겨나는 것을 반대하고 천승(賤僧)인 ag 슬롯에게 정사(政事)를 맡기지 말 것을 간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 같이 복직된 김보(金普)가 ag 슬롯의 참소로 재상직에서 파면된 이후로 국사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이어 간관 정추(鄭樞)와 이존오(李存吾)가 ag 슬롯을 논하다가 쫓기게 될 때 이를 구호하여 더욱 ag 슬롯의 미움을 받았다. 이 때 ag 슬롯이 참소하여 전주에 유배된 목인길을 변호하다가 여흥(驪興)으로 유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