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이환추 ()

목차
서예
인물
고려전기 「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 「비로암진공대사보법탑비」 등의 작품을 낸 서예가.
이칭
이칭
환상(奐相)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상주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전기 「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 「비로암진공대사보법탑비」 등의 작품을 낸 서예가.
내용

일명 환상(奐相). 벼슬은 상주국(上柱國)을 지냈다. 글씨는 당나라 구양순(歐陽詢)의 해서를 기본으로 강렬한 필치가 돋보인다.

937년(태조 20)에는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를, 939년에는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와 비로사 진공대사보법탑비를 썼는데, 이 세 비 모두 최언위(崔彦撝)가 찬하였다.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고, 비로사 진공대사보법탑비는 1972년 경상북도 유형프라그마틱 슬롯 체험재(현, 유형프라그마틱 슬롯 체험유산)로 지정되었다.

최언위는 최치원(崔致遠)의 사촌동생으로 당시 글과 글씨로 이름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환추 또한 당대 명필로서의 위치를 짐작할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다.

참고문헌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상(上)』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朝鮮金石攷』(葛城末冶, 東京 國書刊行會, 1935)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프라그마틱 슬롯 체험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프라그마틱 슬롯 체험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