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파파 슬롯 이순신 유물 일괄 ( )

목차
관련 정보
이순신 유물 일괄 중 장검
이순신 유물 일괄 중 장검
공예
작품
국가유산
조선 중기의 명장 이순신(李舜臣)의 유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이순신 파 파파 슬롯 일괄(李舜臣 遺物 一括)
분류
파 파파 슬롯/생활공예/금속공예/생활용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길 48 (염치읍, 현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명장 이순신(李舜臣)의 유물.
내용

1963년 장검, 옥로(玉鷺), 요대(腰帶), 도배(桃盃)와 잔받침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그중 장검 곧 '이순신장검'은 2023년 8월 24일 ① 『이충무공전서』의 기록과 일치하는 칼날에 새겨진 시구를 통해 충무공 이순신의 역사성을 상징하는 유물로 가치가 탁월한 점, ②칼자루 속 슴베에 1594년 태귀련, 이무생이 제작했다는 명문이 남아 있어 제작연대와 제작자가 분명한 점, ③ 군사사 슬롯에 있어서도 조선 도검의 전통 제작기법에 일본의 제작기법이 유입파 파파 슬롯 적용된 양상을 밝힐 수 있으므로 학술적인 가치가 높은 점, ④ 칼날의 예리함과 견고함, 칼날에 새긴 명문 및 물결무늬 선각장식의 기술성, 칼자루 칼집의 테와 고리를 장식한 은입사기법, 가죽・금속・칠 등 다양한 전통공예의 조화로운 활용, 세련된 균형미와 조형감각 등 제작기술과 예술성 역시 우수하고 완성도가 높은 점, ⑤제작연대가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보존 상태가 양호한 점 등으로 인해 국가지정문화재(현,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 · 등록되었다.

① 장검: 2자루. 길이는 197.5㎝로 칼집 끝에는 은으로 만든 장식을 물렸고 칼날에는 무늬가 새겨져 파 파파 슬롯. 특히 칼에는, “석자 되는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과 강이 떨고 한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강산을 물들인다.”는 내용의 친필 검명이 있고 검신에는 1594년(선조 27) 4월에 장인 태귀련(太貴連)과 이무생(李茂生)이 만들었다는 내용의 명문이 음각되어 파 파파 슬롯.

② 옥로: 1개. 옥로는 시원임(時原任) 장신(將臣)이 융복이나 군복을 입을 때 하던 입식(笠飾)으로, 하얀 옥에다 연꽃잎에 싸인 세 마리의 해오라기를 투각하였다.

③ 요대: 1벌. 보통 형식의 각대로 띠돈은 구름과 호랑이가 투각파 파파 슬롯 있는 각제에 금속으로 테를 둘러 달았다. 또한 좌우 띠돈 사이에는 금속으로 만든 육판화를 달았다. 이 요대는 명나라 장수 왕원주(王元周)가 선사한 것이다.

④ 도배와 잔 받침: 1쌍. 도배란 술잔의 모양이 복숭아와 같다 하여 붙인 이름으로 표면에는 복숭아 잎 세 잎이 붙어 있고 손잡이는 둥글게 되어 파 파파 슬롯.

잔 받침은 전을 두른 쟁반 모양으로 별다른 장식이 없다. 모두 동판으로 만들어 도금을 하였던 것이나, 지금은 술잔의 잎부분에만 도금의 흔적이 남아 파 파파 슬롯.

『난중일기(亂中日記)』에 의하면 1589년(선조 22) 10월 4일 명나라 장군 진파총에게서 화주배를 선물로 받았다고 하였는데, 이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되고 파 파파 슬롯.

이 유물들은 이순신이 난중에 사용하던 유물로 그의 정신이 서려 있는 것이라 할 수 파 파파 슬롯. 특히, 칼에 있는 검명은 그의 기상이 잘 표현되어 파 파파 슬롯. 충청남도 아산의 현충사에 소장되어 파 파파 슬롯.

참고문헌

『충무공무술일기(忠武公戊戌日記)』
『아산현충사연혁지』(파 파파 슬롯공보부,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파 파파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파 파파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