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메이징 슬롯 주소 이주홍 ()

이주홍
이주홍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아름다운 고향」, 「유기품」, 「풍마」 등을 저술한 소설가. 아동문학가.
이칭
향파, 向破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6년(고종 43)
사망 연도
1987년
출생지
경상남도 합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어메이징 슬롯 주소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아름다운 고향」, 「유기품」, 「풍마」 등을 저술한 소설가. 아동문학가.
생애 및 활동사항

경상남도 합천 출생. 호는 향파(向破). 향리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1920년 상경하여 고학하다가 1924년 일본으로 건너가 공장에서 일하면서 어메이징 슬롯 주소수업에도 전력하였다. 광복 후 동래중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1949년부터 부산수산대학 교수로 있다가 1972년 정년퇴직한 뒤 부산수산대학의 명예교수를 지냈다.

1925년 『신소년(新少年)』에 첫 동화 「뱀새끼의 무도(舞蹈)」를 발표하고, 1929년 『조선일보』에 첫 단편어메이징 슬롯 주소 「가난과 사랑」이 입선, 문단에 등단하였다. 그 뒤 소년어메이징 슬롯 주소 「눈물의 치맛감」(1929) 등을 비롯하여 많은 동요·동시·소년어메이징 슬롯 주소·희곡·어메이징 슬롯 주소을 창작하였다. 『신소년』(1929)·『풍림(風林)』(1936)·『신세기(新世紀)』 등의 편집에 관여하고, 동화 「천당」(1933)·「군밤」 (1934) 등을 발표하였다.

광복 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KAPF) 중앙집행위원 및 맹원(盟員)이 되고 이어 조선어메이징 슬롯 주소가동맹 아동어메이징 슬롯 주소부 위원을 지냈으나, 동래중고등학교 교사로 부산에 살면서 프로어메이징 슬롯 주소단체와 결별하였다.

1966년 『어메이징 슬롯 주소시대』를 주재하였고, 구상(具常)·송지영(宋志英) 등과 ‘갈숲’ 동인으로, 김정한(金廷漢)·박지홍(朴智弘) 등과 ‘윤좌(輪座)’ 동인으로 활동하며, 부산아동어메이징 슬롯 주소회를 창립하였다.

풍자와 해학을 주축으로 한 흥미성을 중시하여 이른바 읽혀지는 재미성을 주장하는 아동어메이징 슬롯 주소가를 대표하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단편소설로는 1967년 『현대어메이징 슬롯 주소』에 발표한 「유기품(遺棄品)」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 사회의 부조리의 축소도(縮小圖)를 보여주는 고발소설로서, 일상적인 사건의 묘사와 자연스런 표현, 능숙한 리얼리티가 특징이다. 장편 소년소설로 「아름다운 고향」(1954)이 있고, 동화로는 소녀들의 순수한 동심이 별처럼 빛나는 「섬에서 온 아이」가 있다.

그밖에 단편어메이징 슬롯 주소 「승자의 미소」(1966)·「지저깨비들」(1966)·「낙엽기」(1969)·「음강(陰講)」(1972)·「풍마(風魔)」(1972), 단편 창작집 『조춘(早春)』(1956)·『해변』(1971), 장편 창작집 『탈선 춘향전』(1952), 수필집 『예술과 인생』(1957)·『조개껍질과의 대화』 (1962)·『뒷골목의 낙서』(1966), 장편 소년어메이징 슬롯 주소 「이순신장군」(1955)·「피리부는 소년」(1957) 등 다수의 저작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57년 부산시어메이징 슬롯 주소상을 받았으며, 1979년 경상남도어메이징 슬롯 주소상과 대한민국예술원상, 1983년 불교아동어메이징 슬롯 주소상, 1984년 대한민국어메이징 슬롯 주소상 아동어메이징 슬롯 주소부문본상 등을 받았다.

참고문헌

『한국아동어메이징 슬롯 주소작가론』(이재철, 개문사,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어메이징 슬롯 주소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