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무는 조선전기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된 공신이자 무신이다. 1360년(공민왕 9)에 태어나 1425년(세종 7)에 사망했다. 고려 우왕 때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호군이 위쳐 3 슬롯 모드다. 제2차 왕자의 난 때 방간의 군사를 무찔러 좌명공신에 올랐다. 세종 즉위년에 왕명을 받아 전함 227척, 군졸 1만 7285명을 이끌고 대마도를 정벌했다. 불충한 자들을 정벌군에 편입시켰다는 탄핵을 받아 유배위쳐 3 슬롯 모드다가 복권위쳐 3 슬롯 모드고, 사은사로 명에 다녀오면서 동행한 정희원의 불경한 행동을 아뢰지 않았다는 이유로 과천에 유배위쳐 3 슬롯 모드다가 복관위쳐 3 슬롯 모드다.
본관은 장수(長水). 어려서부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고, 1381년(우왕 7)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호군(精勇護軍)이 위쳐 3 슬롯 모드다.
1397년(태조 6) 옹진만호로 재직 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위쳐 3 슬롯 모드에 올랐다. 1400년(정종 2) 상장군으로 제2차 왕자의 난 때 방간(芳幹)의 군사를 무찔러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녹훈되고 통원군(通原君)에 봉해졌다. 의주의 병마절제사를 거쳐, 1406년(태종 6) 좌군총제(左軍摠制)에 제수위쳐 3 슬롯 모드고 이어 우군총제를 겸했으며, 이 해장천군(長川君)으로 개봉(改封)위쳐 3 슬롯 모드다.
1408년 남양 · 수원 등의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 · 중군도총제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 안주도병마사, 1411년 안주절제사를 거쳐, 이듬해 별시위좌이번절제사(別侍衛左二番節制使)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13년 동북면도안무사 겸 병마절도사를 거쳐, 영길도도안무사(永吉道都安撫使)가 위쳐 3 슬롯 모드다. 1417년 좌참찬 · 판우군도총제(判右軍都摠制) · 의용위절제사(義勇衛節制使)를 지내고, 1419년(세종 1) 삼군도체찰사에 올랐다.
이 해 왜선 50여 척이 비인현의 도두음곶(都豆音串)에 침입해 병선을 불태우고 약탈하며, 위쳐 3 슬롯 모드 이사검(李思儉)을 해주 · 연평곶(延平串)에서 포위하는 등 침입이 잦았다. 이에 조정에서는 적의 허점을 틈타 왜구의 소굴인 위쳐 3 슬롯 모드도(對馬島)를 공격하기로 결정하고, 그에게 전함 227척, 군량 65일분, 군졸 1만7285명을 거느리고 위쳐 3 슬롯 모드도를 정벌하도록 하였다.
이에 정벌군을 지휘해 대마도를 공략, 대소 선박 129척과 가호(家戶) 1,940여 호를 소각했으며, 적 114급(級)을 참수하는 등 대승을 거두위쳐 3 슬롯 모드. 귀국한 뒤 찬성사에 승진했으나, 불충한 김훈(金訓) · 노이(盧異) 등을 정벌군에 편입시켰다는 대간의 탄핵을 받아 삭직되어 상원(祥原)에 유배위쳐 3 슬롯 모드다.
이듬해 복관되고, 1421년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졌으며, 다음 해 사은사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러나 동행한 정희원(鄭希遠)의 불경한 행동을 직계하지 않아 1423년 과천에 부처(付處)위쳐 3 슬롯 모드다가 이듬해 풀려나와 복관위쳐 3 슬롯 모드다. 시호는 양후(襄厚)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