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정중(靜仲). 왕손으로 세종의 넷째아들 임영대군(臨瀛大君)의 증손이며, 두성령(杜城令)을 제수받았다.
플레이 텍 슬롯 생애에 대하여는 별로 알려진 것은 없으나, 『패관잡기(稗官雜記)』와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에는 플레이 텍 슬롯 높은 화명(畵名)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영모잡화(翎毛雜畵)에 뛰어났다고 한다. 『인종실록』을 보면, 그는 이상좌(李上佐)와 함께 중종의 어용(御容)을 추사(追寫)할 화가로 승정원에 의하여 추천되기도 하였다. 어떻게 전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암의 작품은 일본에 몇 점 전해진다.
『고화비고(古畵備考)』에 플레이 텍 슬롯 「화조묘구도(花鳥猫狗圖)」 쌍폭이 기록되었는데, 거기에는 ‘완산정중(完山靜仲)’이라는 정형(鼎形)의 도인(圖印)이 찍혀 있고, 신광한(申光漢)이 제(題)한 칠언율시가 적혀 있다.
그는 송나라 모익(毛益)의 화법을 배웠다고 하였는데, 실제로 현재 전해지는 플레이 텍 슬롯 작품은 이와는 달리 완전히 한국적인 정취를 풍기는 독자적인 화풍을 보여준다. 특히, 플레이 텍 슬롯 강아지 그림은 천진스러운 분위기와 전형적인 우리나라 강아지를 그리고 있어서 한국회화사에서 뚜렷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플레이 텍 슬롯 한국적인 동물화풍은 후기 김식(金埴)의 「소」, 변상벽(卞相璧)의 「고양이」 등으로 그 전통이 이어진다. 일본의 화가 소다츠(宗達)의 강아지 묘법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유작으로는 「모견도(母犬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화조구자도(花鳥狗子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화조묘구도」(평양박물관 소장), 「견도(犬圖)」(미국 필라델피아미술관 소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