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정(士正). 종실 봉래군(蓬萊君) 이형신(李炯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야(李壄)이다. 아버지는 이기창(李箕昌)이며 어머니는 홍호(洪灝)의 딸이다. 이시건(李蓍建)의 아우이다.
1755년(슬롯 검증 31)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을 거쳐 1762년(슬롯 검증 38)에 정언으로 있으면서 패초(牌招: 임금이 패를 내려 신하를 부르던 제도)를 어기고, 대론(臺論: 언관인 대관들의 논의)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하여 남해 연안으로 정배(定配)되었다.
헌납을 역임하고 1772년(슬롯 검증 48)에 집의가 되어 공의(公義: 공론에 의한 논의나 결정)를 어긴 전 판서 정존겸(鄭存謙)과 전 참의 이명식(李命植)의 관직을 빼앗고 4대문 밖으로 내쫓을 것을 계청하였다.
또 감찰(監察)의 직책에 대하여, 옛날부터 이는 전중어사(殿中御史)로서 그 책임이 무거우니 당하관 중에서도 문관은 승문원(承文院)에서, 무관은 선천(宣薦: 무과에 급제한 자 가운데 선전관의 후보로 추천될 만한 인물)에서 풍모가 있는 자를 뽑아야 과거시험의 감독과 조반(朝班) 감찰을 잘 할 수 있다고 주청하였다. 부교리·사간을 거쳐 대사간에 이르렀다. 1773년(슬롯 검증 49)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