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 도키 슬롯 진천 이시발 신도비 ( )

목차
관련 정보
이시발 신도비
이시발 신도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있는 조선시대 명신 이시발의 신도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진천 이시발 신도비(鎭川 李時發 神道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오키 도키 슬롯유산(1984년 12월 31일 지정)
소재지
충북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92-1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오키 도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 있는 조선시대 명신 이시발의 신도비.
내용

1658년(효종 9) 건립. 1984년 충청북도 유형오키 도키 슬롯재(현, 유형오키 도키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비신의 높이 177㎝, 너비 100㎝, 두께 28㎝. 현재 비각(碑閣)에 보호되어 있다.

이시발은 1589년(선조 22)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된 뒤, 임진왜란과 이몽학(李夢鶴)의 난(1596) 때에 커다란 공을 세웠고 이괄(李适)의 난(1624)을 평정하기도 했으며, 또 북변의 여진족을 무마하여 지방민의 생활안정을 돕는 등 많은 공로를 세웠다. 말년에 남한산성의 개축공사를 감독하던 중 사망하였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비문에는 이러한 그의 생애와 공로가 기술되어 있는데, 예조참판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호조참판 송준길(宋浚吉)이 행서로 썼으며, 두전(頭篆)은 좌승지 이정영(李正英)이 썼다.

참고문헌

『오키 도키 슬롯금석문대계』2 충청남북도편(원광대학교출판국, 1981)
관련 오키 도키 슬롯 (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오키 도키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오키 도키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오키 도키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