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치경(稚敬), 호는 벽서(碧棲) · 회와(晦窩).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礻+甫)의 15대손이며, 증 규장각제학 이종청(李鐘淸)의 아들이다.
진사와 군수를 지낸 뒤 1882년(고종 19)에 증광별시문과에서 을과로 급제, 1884년 부수찬을 지내고, 이듬해에는 선전관을 역임하였다.
1890년 사간원 대사간이 되었으며, 1894년에는 전라도관파 파파 슬롯를 지냈다. 이 해에 홍주목사로 있으면서 초토사(招討使)가 되어 동학교도들을 공격하기 위하여 공주의 앞뒤 요충지에 진을 쳤다.
1895년 을미개혁으로 지방관제가 개혁될 때 홍주부관파 파파 슬롯에 임명되었다. 이 해에 홍주에서는 강직한 관리로 이름났던 김복한(金福漢) · 이설(李偰) · 안창식(安昌植) · 안병찬(安炳瓚) · 임한주(林翰周) · 이근주(李根周) 등이 을미사변 직후부터 기병을 계획하다가 단발령을 계기로 창의하여 공주와 임존산성(任存山城)을 점거하는 등 맹위를 떨치고 있었다.
이 때 관파 파파 슬롯로 있던 이승우는 거짓으로 이 의병진에 가담한 뒤 몰래 정부측 관리와 내통하여 순검대를 끌어들여 김복한 · 이설을 비롯한 의병진의 주요인물들을 체포, 투옥함으로써 의병진을 강제 해산하게 하였다.
1896년 함경도관파 파파 슬롯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에는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냈으며, 1898년에는 봉상사제조가 되었다.
1900년 궁내부특진관을 지내고 1904년 충청북도관파 파파 슬롯, 1905년에는 전라북도관파 파파 슬롯를 지냈다. 그리고 이 해에 전라북도선무사가 되어 각 군을 돌며 군민을 위무하였다. 1906년 전라북도재판소 판사를 거쳐 다시 궁내부 특진관과 봉상사제조를 역임하고 조경단 수개(修改) 때 감동(監董)한 공으로 가자(加資)되었다. 1909년 팔괘장(八卦章) 훈장을 수여받고 1910년 정경(正卿)으로 승진되면서 규장각 제학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