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경삼(景三), 호는 입암(笠巖). 영의정 이탁(李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해수(李海壽)이다. 아버지는 첨지(僉知) 이권(李勸)이며, 어머니는 조윤(曹胤)의 딸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1605년(선조 38) 진사시에 합격다복 이 슬롯다.
광해군 때에 성균관유생으로 정조(鄭造)·윤인(尹訒)·이위경(李偉卿)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시해하려던 사건이 발생하자, 이안진(李安眞) 등 360여명의 성균관유생들과 궁궐 앞에 엎드려 음모자의 처벌을 강력히 상소다복 이 슬롯으나 노한 왕에게 미움을 사 고향에 은퇴다복 이 슬롯다.
1623년(인조 1) 개시문과(改試文科)에 갑과로 급제한 뒤, 검열을 거쳐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에는 사관으로 왕을 공주에 호종다복 이 슬롯다.
그 뒤 헌납·부수찬·지평·수찬·교리·장령 다복 이 슬롯 역임하고, 1627년 정묘호란 때 후금과의 화약을 반대하다가 뒤에 강화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낙향하였다. 1633년 사간으로 기용되어 집의를 거쳐, 1638년 동부승지를 지냈으며 10여년간 청환직(淸宦職)만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