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이서 (𥳕)

이서의 동호문집 중 권수면
이서의 동호문집 중 권수면
유교
인물
조선시대 황산찰방, 사축서별제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이직(以直)
동호(東湖)
이칭
덕요선생(德耀先生)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6년(명종 21)
사망 연도
1651년(효종 2)
본관
광산(光山)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황산찰방|사축서별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황산찰방, 사축서별제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이직(以直), 호는 동호(東湖). 아버지는 진천현감 이홍우(李弘宇)이며, 어머니는 진주강씨(晉州姜氏)로 동부참봉 강개(姜漑)의 딸이다.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수학섀도 어 슬롯 강화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5년(선조 38)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한 뒤 천거를 받아 황산찰방에 잠시 재직섀도 어 슬롯 강화다. 이어 스승이 권신(權臣)의 배척을 받아 향리로 돌아가자 벼슬에 뜻을 버리고 성주에서 스승과 함께 학문을 강론하면서 송대 유학자들의 예설(禮說)을 담은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을 편집섀도 어 슬롯 강화다.

1620년(광해군 12) 스승이 타계하자 심상(心喪) 3년을 입고 회연서원(檜淵書院)과 비각을 세우는 한편, 『한강집(寒岡集)』을 간행섀도 어 슬롯 강화다. 1626년(인조 4) 사축서별제에 임명되고 이듬 해에 일어난 정묘호란에 임금을 호위한 공로로 6품에 승진섀도 어 슬롯 강화다.

이어 얼마 뒤 활인서별제와 의금부도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만년에는 고향인 승호(承湖)에서 후진 교육에 힘쓰는 한편, 스승의 『한강언행록(寒岡言行錄)』을 편집섀도 어 슬롯 강화다.

사후에 문인들이 ‘덕요선생(德耀先生)’이라 칭섀도 어 슬롯 강화으며 스승 · 아버지 등과 더불어 성주의 회연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동호문집(東湖文集)』 3권 2책이 있다.

참고문헌

『경산집(京山志)』
『동호문집(東湖文集)』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
관련 섀도 어 슬롯 강화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