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슬롯 이보행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성, 대사간,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보(易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8년(숙종 44)
사망 연도
1787년(정조 11)
본관
용인(龍仁)
주요 관직
대사성|대사간|동지경연|이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성, 대사간,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이보(易甫). 이윤악(李胤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세운(李世雲)이다. 아버지는 이의하(李宜夏)이며, 어머니는 김석창(金錫昌)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1년(영조 47)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카드 슬롯가 왕세손으로서 대향(大享: 조선시대 종묘 등에서 정기적으로 지내는 큰 제사)을 지낼 때 예모관(禮貌官)이 되어 가자(加資)되고, 1776년(영조 52)에 승지로서 궁실의 의복과 사치를 경계하여 절검하는 본보기를 국왕이 몸소 보여야 한다고 직언하였다.

전라도관찰사로 나아가서는 양전(量田) 후 진전(陳田: 경작하지 않은 토지)으로 된 땅은 기전(起田)하는대로 수세하도록 하고, 또한 전주부의 성첩(城堞)을 개축하면서 1만 포의 수성곡(守城穀)을 마련하는 등 관치(官治) 행정에 주력카드 슬롯.

1778년(카드 슬롯 2)에 수어청(守禦廳)과 총융청(摠戎廳)을 합치는 것에 대한 대신들의 논의가 있자, 행부사직(行副司直)인 이보행은 쓸모없는 군사는 도태시키고 쓸모없는 군량을 제거하는 것이 융정(戎政)을 바로 잡는 것이라 하여 양청의 혁파를 주장하였다. 또 강화에 통어영(統禦營)을 설치하는 해방(海防)에 대한 논의, 양전의 폐단에 대한 시행법 논의 등의 의견을 개진하기도 하였다.

카드 슬롯성·카드 슬롯간·동지경연·이조참판·선혜청제조를 거쳐 1779년(정조 3)에 카드 슬롯헌이 되었다. 이 때 홍낙순(洪樂純)·홍계능(洪啓能)과 관련된 서명응(徐命應)의 치죄(治罪)를 강력히 주장하다가 도리어 추자도(楸子島)에 정배되어 거기에서 죽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카드 슬롯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드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드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