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이당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대사간,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기중(基仲)
퇴촌(退村)
시호
문경(文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5년(인조 3)
사망 연도
1684년(숙종 10)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이조참판|대사간|부제학|함경도관찰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대사간,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기중(基仲), 호는 퇴촌(退村). 이희검(李希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수광(李睟光)이다. 아버지는 영의정 이성구(李聖求)이고,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한림사 권흔(權昕)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50년(효종 1)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같은해 동료들을 이끌고 당론문제로 상소하자, 왕이 비지(批旨)를 내려 학업에만 열심히 하라고 당부하였다. 곧 문음으로 입사하여 여러 관직을 거친 뒤 1668년(현종 9) 의성현령이 되었다. 이 해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2년 홍문관수찬이 된 이래 정언·이조좌랑·이조정랑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거쳐 국장도감의 낭청이 되었다. 다시 겸문학을 거쳐 1674년 동부승지에 발탁되었다.

그 뒤 이조참의·승지·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간·부교리·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성·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헌·이조참판 등의 청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숙종 초의 남인정권에서 많은 활약을 하였다. 1677년(숙종 3) 대제학으로 백골징포(白骨徵布)·황구첨정(黃口簽丁)과 같은 군포(軍布)의 폐단과 서북지방의 전세(田稅)문제에 대하여 과감한 개혁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그 뒤 이조참판·대사간·부제학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역임하고, 1679년 함경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다음해에 이조참판이 되었으나, 경신대출척으로 파직되어 폐서인이 되었다. 1682년 직첩을 환수받았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