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고택은 조선 순조 때의 선비인 이광임이 거처하던 곳으로 동향하여 경사진 땅을 정지하여 여기에 一자형의 사랑채와 ㄱ자형의 코인 슬롯, 그리고 一자형의 행랑채가 전체적으로 튼ㅁ자형을 이루며 배치되고 있다.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2칸에 한 칸 폭으로 3칸 붙여 ㄱ자형을 이룬 건물로서 중앙에 우물마루에 삿갓천장을 한 4칸통간의 넓은 대청이 있고 대청 우측으로는 2칸통간의 안방과 1칸의 웃방이 외여닫이 띠살문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안방 동측으로는 2칸의 부엌이 붙어 코인 슬롯데 그 위는 누다락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청 좌측에는 1칸의 건넌방이 코인 슬롯데 뒤에는 벽장이 있고 앞에는 함실을 둔 툇마루가 깔려 있다. 건넌방 옆에는 다시 2칸의 곡물 저장용 광이 있고 그 옆으로 붙어서 앞에 누마루가 깔린 재실과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모인 친척들이 머물 수 코인 슬롯 방이 각각 1칸씩 붙어 코인 슬롯데 이 재실과 누마루 사이에는 4분합 빗살문 들어열개를 달았다.
안채와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코인 슬롯 정면 7칸, 측면 3칸에 一자형 평면으로 된 사랑채는 중앙부분에 코인 슬롯 2칸통간의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2칸의 사랑방이, 좌측에는 1칸의 건넌사랑방이 코인 슬롯데 대청의 전면에는 4분합 띠살 들어열개이고 사랑방과는 각각 3분합 맹장지 들어열개로 처리하여 필요할 때 사랑채 전체를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사랑방 우측에는 1칸의 부엌을 두었는데 후면은 누다락으로 쓰고 전면은 바닥면을 높여 사랑방 앞의 툇마루와 연결된 누마루를 설치하여 앞에 트여진 전원풍경을 즐길 수 코인 슬롯 공간을 만들었으며, 누마루 밑의 부엌은 이로 인하여 천정이 낮아 구부려야 들어 갈 수 있다.
구조는 코인 슬롯와 사랑채 모두가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주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운 후 납도리집 계통으로 꾸몄다. 지붕틀 가구는 전형적인 5량집으로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을 올렸는데 행랑채만은 초가로 되었다.
경사진 대지에 층을 달리하는 기단이나 마당 등을 규모 있고 변화 있게 배치한 후 여기에 안채와 사랑채를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외부공간의 형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행랑채 자리에 사랑채를 배치하여 여기에서 관망할 수 코인 슬롯 좋은 전망과 더불어 건물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