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온라인 슬롯 이계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전라우수사, 연안부사, 훈련도감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628년(인조 6)
주요 관직
제주판관|동래부사|훈련도감중군
관련 사건
유효립(柳孝立)의 모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해외 온라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전라우수사, 연안부사, 훈련도감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1599년(선조 32) 제주판관으로 재직시, 제주목사와의 알력이 드러나 사헌부의 탄핵으로 파직해외 온라인 슬롯다. 1601년 청성첨사(靑城僉使)에 제수해외 온라인 슬롯으나, 경력이 얕은 자를 갑자기 당상의 품계에 올려주는 것이 부당하다는 사헌부의 논박으로 보류해외 온라인 슬롯다.

그 뒤 1602년 동래부사로 부임한 이래 원주·강계 부사 등의 목민업무를 줄곧 수행하였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한산무장(閑散武將)으로서 1619년(광해군 11)에 전라우수사를 거쳐, 1621년에는 연안부사를 해외 온라인 슬롯하였다.

그 뒤 이계선의 무장이 잘 알려져 기복(起復: 부모의 상 중에는 관직생활을 할 수 없으나 유사시나 특별한 경우 왕의 부름으로 관직활동에 복귀하던 일) 중에도 부름을 받는 등 중용해외 온라인 슬롯으며, 1628년(인조 6)에 훈련도감중군으로 재직하면서 유효립(柳孝立) 모반 사건에 가담한 죄로 형을 받다가 졸하였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해외 온라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해외 온라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해외 온라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해외 온라인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