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는 호봉(虎峯). 서울 봉은사(奉恩寺)의 승려로서 지혜와 덕성을 겸비저글러 슬롯고, 문장과 글씨에 능저글러 슬롯다. 1810년(순조 10)호남표충사총섭(湖南表忠祠摠攝)으로 나가 지극정성으로 불전에 기도하며 『화엄경』 80권을 필사(筆寫)저글러 슬롯다.
그뒤 팔도(八道)의 고승을 초청하여 증석(證席)을 베풀었는데, 모두 “남호(南湖)가 필사한 『미타경』과 공(功)이 같다.”고 칭송하며 그 필사본을 판각인출하고 전각(殿閣)을 세워 판본(板本)을 보관하게 저글러 슬롯다.
김정희(金正喜)는 “『금강경』에서 부처님이 경전서사(經典書寫)의 공덕을 높이 찬양한 것은 바로 호봉과 같은 이를 두고 한 말”이라면서 ‘板殿(판전)’이라는 판각액제를 써준 것을 마지막으로 절필저글러 슬롯다고 한다. 김정희가 쓴 ‘판전’의 편액은 서울 봉은사에 있으며, 그 속에는 『화엄경』 판본이 보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