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 슬롯 응고 ()

목차
관련 정보
응고
응고
국악
물품
조선시대 타악기의 하나.
이칭
이칭
응비(應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타악기의 하나.
내용

아악기(雅樂器)로 버 슬롯(朔鼓)와 더불어 건고(建鼓)에 부수되는 작은 북이다. 전정헌가(殿庭軒架)에 건고의 좌우에 함께 진설되며, 버 슬롯의 선창(先唱)에 화응(和應)하는 북이다.

버 슬롯는 입고(立鼓, 建鼓)와 비고(鼙鼓, 朔鼓)와 함께 고려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들어와 조선말까지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문헌통고(文獻通考)』의례(儀禮) 대사례(大射禮)에서는 “건고 하나는 남동(南東)에 있고, 고삭비(鼓朔鼙, 삭고)는 북에 있다.”라고 하였고, 『예기』에서는 “현고(懸鼓)는 서에 있고, 버 슬롯는 동에 있다.”라고 하였다.

『이아(爾雅)』에서는 작은 북을 버 슬롯라 하고, “삭고는 일명 삭비(朔鼙)니 시작할 때 치고, 버 슬롯는 일명 응비(應鼙)니 화종(和終)하는 북으로 전정헌가에 쓰인다.”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건고를 가운데 두고 버 슬롯는 동쪽에, 삭고는 서쪽에 진설하여 음악을 시작할 때 먼저 삭고를 치고 버 슬롯를 친 다음 비로소 큰 북인 건고를 치는 것이 작악(作樂)의 절차였다. 버 슬롯는 삭고와 함께 작은 북에 속하나 버 슬롯가 삭고보다 약간 더 작다.

버 슬롯의 양쪽 가죽면의 지름은 1척 3촌이고, 북통의 길이는 2척 2촌이며, 가운데 둘레는 5척 4촌이다. 가자는 엎드린 4마리의 호랑이를 새긴 2개의 받침대 위에 틀을 세우고 틀 위 양쪽에 봉황 모양의 조각으로 장식하였다. 가자의 높이는 4척 2촌 5푼이고, 너비는 2척 7촌 5푼이다. 가자의 중앙에는 달을 그리고 붉은 칠을 하는데, 삭고는 해 모양에 흰 칠을 한 것이 서로 다르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버 슬롯악기대관』(장사훈, 버 슬롯국악학회, 196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버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