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을자모양 동기 ( )

목차
선사문화
물품
초기 철기시대에 사용된 수레의 부속품.
이칭
이칭
동제을자형관금구(銅製乙字形管金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습니다.
목차
정의
초기 철기시대에 사용된 수레의 부속품.
내용

‘동제을자형관금구(銅製乙字形管金具)’라고도 불린다. 을(乙)자형으로 꺾어진 속이 빈 관형금구와 일직선으로 곧은 관형금구로 구성되어 있다. 항상 2개가 1쌍으로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되고 있으며, 관형금구 속에는 소목봉(小木棒) 또는 흑칠(黑漆)을 한 소목봉이 삽입되어 있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평안남도·황해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서북 지방의 움무덤[土壙墓]·덧널무덤[木槨墓]에서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되고 있는데 남부 지방에서는 아직까지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된 예가 없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 상리유적과 평양시 정백동 채토장(採土場)유적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평양 상리유적 출토의 을자모양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17.5cm, 18.4cm, 18.2cm 이다. 묘광 내에서는 대체로 권총형의 멍에머리[車衡頭]·고깔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笠形銅器: 삿갓모양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통모양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筒形銅器]등의 수레 부속품들과 함께 출토되고 있다.

중국의 전한대(前漢代)부터 사용되었던 이원식일두(二轅式一頭) 마차가 들어오기 전의 일원식이두(一轅式二頭) 마차가 사용될 때부터 만들어진 것이다. 권총형 멍에머리·삿갓모양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 등과 함께 중국 등 다른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 우리나라 독자의 수레 부속품이다.

이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는 마차의 견인과는 직접적으로 관계없는 부위에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뒤의 이원식일두 마차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반출 유물로는 중국제 꺾창[銅戈]·동모·성운문경(星雲文鏡)·사신경(四神鏡) 등이 있다. 이러한 반출 유물로 보아 이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가 쓰인 연대는 상한이 전국(戰國) 말에서 전한 초경인 서기전 3세기 말로, 하한은 서기전 1세기 초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특별전-한국의 청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문화』(국립중앙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 범우사, 1992)
「上里遺蹟」(李康承,『日韓交涉の考古學』, 大興出版, 1991)
「朝鮮古代の馬車」(岡內三眞,『震檀學報』46·47, 1979)
집필자
김진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아이작 아이템 슬롯 머신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