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윤발휘초 ()

목차
관련 정보
윤발휘초
윤발휘초
유교
문헌
조선후기 승정원에서 제23대 왕 순조 · 제24대 왕 헌종연간에 왕의 전교 및 비답 등을 편집한 역사서.
• 본 항목의 다복 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승정원에서 제23대 왕 순조 · 제24대 왕 헌종연간에 왕의 전교 및 비답 등을 편집한 역사서.
내용

12권 12책. 필사본. 권1∼4는 전교분류(傳敎分類)로 24편, 권5·6은 돈유분류(敦諭分類)로 7편, 권7∼11은 비답분류(批答分類)로 109편, 권12는 판부분류(判付分類)로 24편 등으로 구성되어 다복 이 슬롯. 규장각 도서에 다복 이 슬롯.

전교분류의 「제향(祭享)」에는 1804년(순조 4) 혜경궁 가례회갑일(嘉禮回甲日)에 경모궁(敬慕宮)에서의 헌작례에 관한 전교를 비롯하여 1810년 황단(皇壇)에서 거행된 기우제 등 제향에 관한 기록 11건이 다복 이 슬롯.

돈유분류의 「우상(右相)」은 1801년 우의정 김관주(金觀柱)의 사직에 대하여 부당함을 들어 사직을 철회하도록 설득한 것으로 전후 9건의 돈유문이 실려 다복 이 슬롯. 판부분류는 포도청이나 지방국청(地方鞠廳)에 수감된 죄수들의 형집행 여부를 지시한 것이다.

그 밖에도 「비망기(備忘記)」는 중농(重農)의 이념을 밝혀 위정자는 민력(民力)을 지나치게 착취하지 말고 영농에 대하여 적극적인 후원이 필요함을 강조한 다복 이 슬롯이다. 당시의 정치·사회 연구에 도움을 주는 책이다.

관련 다복 이 슬롯 (3)
• 항목 다복 이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다복 이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다복 이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복 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