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유성룡 종가 문적 ( )

유성룡 종손가 문적 중 당장시화첩
유성룡 종손가 문적 중 당장시화첩
유교
문헌
국가유산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유성룡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이칭
이칭
안동유씨문서(安東柳氏文書)
국가문화유산
슬롯 스 캐터 명칭
슬롯 스 캐터 종가 문적(柳成龍 宗家 文籍)
분류
기록유산/슬롯 스 캐터류/민간슬롯 스 캐터/기타류
슬롯 스 캐터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슬롯 스 캐터)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스 캐터 종가 문적』은 조선 전기 문신·학자 슬롯 스 캐터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로 종가유물이다. 11종 22책으로 슬롯 스 캐터의 친필 문적, 임진왜란 기록, 명나라 장수들의 서화첩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주요 문서는 전쟁 중 보고서인 진사록, 퇴임 후 회고록인 난후잡록, 국왕에게 건의한 문서를 수록한 근포집, 명나라 장수들의 서신을 모은 당장서첩 등이다. 이 문적들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이며, 슬롯 스 캐터의 친필 고본은 서예로서도 가치가 높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유영하가(柳寧夏家)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유성룡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1종 22책(점). 슬롯 스 캐터의 친필 문적(親筆文籍) · 수록(手錄), 중국 장수의 시화첩, 슬롯 스 캐터의 호성공신녹훈교서(扈聖功臣錄勳敎書) 등 주로 슬롯 스 캐터의 임진왜란 관계자료이다.

편찬/발간 경위

이 국가유산은 당초 ‘안동 유씨 문서(安東柳氏文書)’라는 명칭으로 1963년 1월에 19권의 수량으로 슬롯 스 캐터되었다가, 그 명칭이 합당하지 않고 또 동일한 책은 통합할 필요가 있어 1990년에 명칭 등을 개정하였다.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유영하가(柳寧夏家)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슬롯 스 캐터 목록 및 내용 개요는 다음과 같다.

① 진사록(辰巳錄):3책. 필사본. 1592년(선조 25)∼1593년 사이에 작성되었고, 슬롯 스 캐터이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로 전지에서 군의 동정과 전황을 국왕에게 보고하고 대비책을 건의한 문서를 수록한 책이다.

② 난후잡록(亂後雜錄):2책. 필사본. 선조 연간에 작성되었고, 슬롯 스 캐터이 퇴임한 뒤에 전란 중의 사적을 회상하여 적은 책이다. 평안도 진관관병(鎭管官兵) 편오책(編伍冊) 이면에 기록하였는데, 편오책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③ 근포집(芹曝集):2책. 필사본. 1593년∼1598년 사이에 작성되었고, 슬롯 스 캐터이 임진왜란 때 군무와 정사에 관하여 국왕에게 건의한 계사(啓辭) · 차자(箚子) 등을 수록한 책이다.

④ 중흥헌근(中興獻芹):1책. 필사본. 선조 연간에 작성되었고, 왕의 분부를 기록한 책이다.

⑤ 군문등록(軍門謄錄):1책. 필사본. 슬롯 스 캐터이 임진왜란 중에 군문에서 행한 계초(啓草) · 공문 등을 적은 책이다.

⑥ 정원전교(政院傳敎):2책. 필사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국왕의 분부를 받은 승지가 슬롯 스 캐터에게 전달한 유지(有旨)를 모아 엮은 책이다. 그 중에 유서(諭書)도 한 건이 있다.

⑦ 정조어제당장서화첩제문(正祖御製唐將書畵帖題文):2책. 필사본. 1794년 정조가 슬롯 스 캐터 종손가에 소장된 명장(明將)의 서화첩을 보고 소감을 적은 것이다. 채제공(蔡濟恭)의 발문이 첨부되어 있다.

⑧ 당장시화첩(唐將詩畵帖):1책. 필사본. 명장의 시와 그림을 모은 책이다. 1592년 12월 명나라의 제독 이여송(李如松)이 자신의 부채에 시를 써서 슬롯 스 캐터에게 주었는데, 묵죽(墨竹)도 있다.

⑨ 당장서첩(唐將書帖):2책. 필사본. 임진왜란 때 원병 나온 명나라 장수들이 슬롯 스 캐터에게 보낸 편지와 공문 등을 모은 책이다.

⑩ 슬롯 스 캐터비망기입대통력(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5책. 슬롯 스 캐터이 비망의 목적으로 당시의 중요한 사실을 책력(冊曆)인 『대통력(大統曆)』에 기입한 것이다. 갑오(1594) · 병신(1596) · 정유(1597) · 갑진(1604) · 병오(1606)의 책력인 『대통력』은 인력자(印曆字)로 인출하였다. 친필의 비망록으로서 중요하고, 『대통력』도 귀중한 자료이다.

⑪ 호성공신녹훈교서(扈聖功臣錄勳敎書):1장. 필사 원본. 1604년(선조 37) 10월 국왕이 임진왜란 때 특히 왕을 호종하며 국난 회복에 대공을 세운 슬롯 스 캐터에게 호성공신 2등에 서훈한 녹훈교서이다. 호성공신 교서로는 완양부원군 이충원이 받은 이충원 호성공신교서가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들 전적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사료이다. 명장들의 시화첩과 서첩, 슬롯 스 캐터의 친필 고본은 서예로서도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이들 전적과 문서 가운데 『징비록』이 1969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광국공신녹훈교서 · 교지 · 교서 등이 유물과 함께 196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미지정된 전적 · 고문서들도 지정 대상이 될 만한 것이 많다.

참고문헌

『영모각』(정무수 편저, 유서애기념사업회, 1988)
『국보』12 서예전적(천혜봉 편저, 예경산업사, 1985)
『경북지방고슬롯 스 캐터집성』(이수건, 령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1)
『슬롯 스 캐터재대관』보물편(슬롯 스 캐터재관리국, 1971)
집필자
이정섭(문화재관리국, 한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슬롯 스 캐터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슬롯 스 캐터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