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대문을 들어서면 서측 좁은 터에 자리잡고 에그 벳 슬롯.
서울 지방에 널리 건축되어온 ㄱ자형 평면으로 서북쪽에 1칸 부엌과 2칸 안방이 동남향하여 있고, 안방의 동남쪽에 정면 2칸 측면 1칸반의 대청이 자리잡고 있으며 대청 옆으로는 1칸 건넌방이 자리잡고 에그 벳 슬롯.
건넌방의 옆에는 반칸폭의 마루가 에그 벳 슬롯데 이 마루에는 유리문을 삼면에 달아 마루방을 아루고 있으며 건넌방과 이 마루방의 앞에는 툇마루를 내달았다.
부엌의 서쪽에는 방 1칸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부엌과 이 방 사이에는 문을 달아 찬방으로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이 집에서는 벽체로 완전히 막아 독립된 방으로 사용하고 에그 벳 슬롯. 이 안채 남쪽 대문 옆 서쪽에는 온돌방 1칸반의 별채가 에그 벳 슬롯.
안채는 장대석 외벌대 기단 위에 네모뿔대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결구한 오량가구(五樑架構)로 종도리는 굴도리이다. 앞 뒤 모두 홑처마이고 처마 끝에 함석홈통을 달아 빗물을 학각(鶴角)으로 낙수시키고 에그 벳 슬롯.
건넌방 동측면에 합각을 형성하여 팔작지붕을 이루고 부엌 옆방에서는 맞배지붕을 이루고 에그 벳 슬롯. 대청 전면과 건넌방 옆 마루방에는 유리문들을 달았는데 이는 모두 후대 집장사집에서 나타나는 요소들이다.
또 부엌 상부의 다락에 단 넌출은 재래형이지만 부엌의 用자살 미세기 유리문이나, 부엌 출입문 옆을 붙장과 부뚜막 위의 살창을 없애고 매끈한 회벽으로 처리한 것은 모두 후대의 개작이라 생각된다.
대문 옆 별채는 시멘트 기와지붕을 한 후대의 건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이 집은 1910년대 이후 집장사집(1930년대)이 번창하기 이전의 주택으로서 주택사의 흐름을 알 수 있게 하는 실례(實例)라 할 수 에그 벳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