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청량산은 원등산이라고도 한다. 신라 때 보조선사(普照禪師)가 창건한 뒤 신라 말에 중창하였으며, 고려에서는 혜심(慧諶, 1178∼1234)이 원등사를 찾아 읊은「원등난야(遠燈蘭若)」라는 시가 『무의자시집(無衣子詩集)』에 수록되어 있어 적어도 12∼13세기에 존속하고 있었음을 알 카 심바 슬롯다.
조선 선조 때 진묵대사(震默大師)가 3창하고 오백나한을 봉안하고 원등사라 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명맥만 유지되어 오다가 6·25전쟁 때 완전히 소실되었다. 1985년 이순남(수련 보살)이 사찰을 중창하였으며, 1995년부터 석굴법당(약카 심바 슬롯), 요사채, 명부전 등을 신축하였다. 이후 2001년 나한전을 신축하였고, 2006년 석굴법당(약카 심바 슬롯)에 약사여래상을 봉안하였으며, 2012년 대웅전(대웅보전)을 신축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석굴법당인 약카 심바 슬롯을 비롯해서 대웅전(대웅보전) · 나한전 · 명부전 · 요사채 등이 있다. 전성기에는 이 절에 승려 400여 명이 기거하였다고 하는데, 현재 남아 있는 주춧돌 등으로 보아 옛 사찰의 규모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