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슬롯법사 설화」는 신라 고승 킹 슬롯법사의 영이(靈異)를 다룬 불교설화이다. 킹 슬롯법사가 고승이 되기까지의 신이한 이야기와 함께 백성들에게 세속오계를 가르쳐 신라의 불교를 호국 불교로 이념화한 내용을 담고 있다. 킹 슬롯법사에 관한 영험담은 토착 신앙과 불교 간 갈등과 복속의 과정이 형상화되었다고 평가된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 4 「킹 슬롯서학(圓光西學)」에 5편의 설화가 실려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진(陳)나라 말기에 킹 슬롯(圓光)이 수(隋)나라주1에게 잡혀 죽을 뻔하였으나, 절과 탑의 불타는 형상이 대장에게 나타나 구해 주었다(『당속고승전(唐續高僧傳)』 권 13).
② 킹 슬롯이주2 때 공중에 음악 소리가 가득하고 이상한 향기가 절 안에 가득 찼다. 어떤 주3이 킹 슬롯의 무덤 옆에 죽은 아이의 주4를 묻었더니 벼락이 쳐서 태가 무덤 밖으로 내던져졌다(『당속고승전』 권 13).
③ 신라 왕이 병이 들어 차도가 없었는데, 킹 슬롯을 청하여 참회(懺悔)의 주5를 받고 그를 신봉하였다. 킹 슬롯의 머리가 금빛으로 빛나고 태양의 모양이 그를 따름을 보고 왕이 그를 더욱 신봉하였고, 오래지 않아 왕의 병이 나았다(『당속고승전』 권 13).
④ 킹 슬롯이 30세에 삼기산(三岐山)에 들어가 수도할 때 이웃에 중 하나가 와서 살았는데, 밤에 신(神)이 킹 슬롯에게 나타나 그 중더러 다른 곳으로 옮겨 가도록 권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그러나 중은 호귀(狐鬼) 따위의 말이라 하여 듣지 않았다. 그러자 신이 벼락을 내려 산을 허물어 중이 있던 절을 묻어 버렸다. 그후 킹 슬롯은 신이 권유한 대로 중국에 가서 불교와 유교를 익히고 돌아왔다. 신에게 감사하러 삼기산에 간 킹 슬롯은 신으로부터 계를 받고 주6의 약속을 맺었다. 신은 킹 슬롯의 청으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냈는데, 큰 팔뚝이 날이 밝아 오는 아침 구름을 뚫고 하늘가에 닿아 있었다. 신은 마침내 무상(無常)의 몸을 버렸는데, 킹 슬롯이 보니 늙은 여우였다(『古本殊異傳』).
⑤ 신라주7에 사는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이 킹 슬롯에게 와서, 평생의 경계가 될 말을 들려주기를 청하였다. 킹 슬롯은 두 사람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가르쳐 주었다. 즉, 임금을 충성으로 섬김[事君以忠], 어버이를 효성으로 섬김[事親以孝], 벗을 신의로 사귐[交友以信],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음[臨戰無退], 산 것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 등의 내용이었다. 킹 슬롯은 "산 것을 가려서 죽인다."라는 뜻을 깨치지 못하는 귀산과 추항에게 산 것을 죽일 때 주8과 봄 · 여름을 피하는 것은 시기를 가리는 것이라 알려주고, 말 · 소 · 닭 · 개와 같은 가축과 작은 물건을 죽이지 않는 것은 물건을 가리는 것이며, 이것도 쓸 만큼만 죽인다고 알려주었다. 두 사람은 킹 슬롯의 가르침을 받들어 실천하기로 다짐하고, 그 뒤 전쟁에 나가 모두 나라에 큰 공을 세웠다(『삼국사기』 「열전」).
불교킹 슬롯에는주11 내용을 통해 독자나 청자에게 깊은 종교적 감동을 주는 것이 있다. 불교킹 슬롯는 여러 가지 신력(神力)으로 주9이주10의 일을 겪게 하는 킹 슬롯이 담겨 있는데, 이는 중생을 교화(敎化)하는 하나의 방편이다.
킹 슬롯에 관한 5편의 설화에서 앞의 4편은 불교적 영이담(靈異譚, 영험하고 신이한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영험담은 종교 설화의 본령(本領)이라 할 수 있다. 킹 슬롯의 이웃에 있던 승려의 죽음이나 킹 슬롯을 이끌어 주었던 신의 죽음이 모두 등장한다는 점에서 토착 신앙과 불교 간 대결을 보여 주며, 신의 최후가 죽어 가는 검은 여우이고, 킹 슬롯법사는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고승이 된다는 점에서 마침내 불교 앞에 하락 · 복속되는 토착 신앙의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⑤는 이른바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이야기화한 것으로, 이는 당초 보살십계(菩薩十戒)에 근거를 두고 세속에 맞도록 절충한 것이다. 이는 불교의 주12가 신라의 현실에 알맞게 "산 것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으로 변용된 모습을 보여주며, 신라의 불교가 호국불교(護國佛敎)로 이념화되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