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슬롯 울이글틀

목차
관련 정보
울이글틀 / 김희상
울이글틀 / 김희상
문자
문헌
1927년 김희상이 중등학교의 국어문법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국어문법서.
• 본 항목의 윈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7년 김희상이 중등학교의 국어문법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국어문법서.
내용

A5. 1927년 경성영창서관(永昌書館)에서 발행하였다. 권두의 자서(自序)에 의하면, 1924년에 집필한 것을 개성호수돈여학교(好壽敦女學校)에서 가르치면서 수정한 것이라 한다.

윈 슬롯은 솔애(소리)·사(詞)·말[句語]의 3편으로 나눈 3부법의 구성이며, 문법체계는 종전과 별로 다름이 없다. 다만, 1920년대의 시대적 환경에 힘입어 다시 집필하면서 종전보다 상세한 설명과 풍부한 예로 윈 슬롯이 크게 심화된 점이 다르다.

끝에는 참고라 하여 문자와 어원에 관한 12개항이 추가되어 있다. 특히, 품사전성인 ‘사의 밧구임’과 ‘토의 용법’ 두 장이 새로 마련되고, 곳곳에 ‘풀이’란을 두어 설명을 보충하기도 하였다.

반면에, 그 품사전성에는 일부 활용형이 섞여서 활용형이 양분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것은 관계대명사의 설정과 함께 초기윈 슬롯적 관점이다.

그런데 당시에 일어난 철자법논쟁의 와중에서, 책명 ‘울이(우리)’의 표기에서 보듯이 지나친 어원표시를 한 것은 시대상의 탓이지만, 그 이해와 읽기에 자못 부담을 느끼게 한다.

참고문헌

「우리글틀」(김희상,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윈 슬롯대계』제1부 제7책, 탑출판사, 1977)
『조선문자급어학사(朝鮮文字及語學史)』(김윤경, 조선기념도서고판관, 1938)
관련 윈 슬롯 (1)
집필자
김민수(고려대학교, 국어학)
    • 항목 윈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윈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윈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윈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