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을 모체로 삼아 다섯 가지 무구로 이루어진 제주도 무속악기이다. ‘천하슬롯 게임 꽁 머니’ 또는 ‘천하슬롯 게임 꽁 머니 상쇠거리’라고도 한다. 굿을 할 때 심방(무당)이 이를 들고 흔들어 소리가 나게 하는데, 이 소리는 선한 신을 하강시키고 소원을 들어주게 하며, 악신의 범접을 방지해주는 구실을 한다고 한다. 슬롯 게임 꽁 머니는 구리로 만들어져 있는데 ‘해거울’·‘달거울’·‘몸거울’·‘아왕쇠’·‘뽀롱쇠’ 등의 다섯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이 손에 들고서 위아래로 올렸다 내렸다 하는 과정에서 서로 마찰되어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일명 ‘천하슬롯 게임 꽁 머니’ 또는 ‘천하슬롯 게임 꽁 머니 상쇠거리’라고도 한다. 굿을 할 때 심방(무당)이 이를 들고 흔들어 소리가 나게 하는데, 이 소리는 선한 신을 하강시키고 소원을 들어주게 하며, 악신의 범접을 방지해주는 구실을 한다고 한다.
또, 심방은 이 슬롯 게임 꽁 머니에 달린 거울을 통하여 그 신의 하강을 감지한다고 한다. 거의 거울들로 이루어진 슬롯 게임 꽁 머니를 심방이 들어 울리면 천하에 있는 귀신에게 알려지게 되며 꿰뚫어 비치게 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는 부귀영화와 장수를 이루게 하여준다는 것이다. 슬롯 게임 꽁 머니는 구리[銅]로 만들어져 있는데 ‘해거울’ · ‘달거울’ · ‘몸거울’ · ‘아왕쇠’ · ‘뽀롱쇠’ 등의 다섯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① 해거울 : 해를 상징하는 거울로서, 전면은 반질반질하게 되어 있으나 후면은 양각된 국화모양의 동그라미로 채워져 슬롯 게임 꽁 머니. 지름 13.5㎝이며 중심부에 구멍이 나 있어, 이 구멍을 이용해서 끈으로 매어져 슬롯 게임 꽁 머니. ② 달거울 : 달을 상징하는 거울로, 후면에는 단풍잎이 양각되어 슬롯 게임 꽁 머니. 지름 8.7㎝로 되어 있으며, 역시 중심부에 구멍이 나 있고, 이 구멍을 이용해서 끈으로 매어져 슬롯 게임 꽁 머니.
③ 몸거울 : 해거울과 달거울처럼 되어 있으면서도 자루가 달려 있는 것이 다르다. 거울 전면에는 동그라미 안에 추상적인 도안이, 그리고 후면에는 십장생(十長生)그림이 양각되어 슬롯 게임 꽁 머니. 지름 8. 5㎝이며, 자루의 끄트머리 쪽에 구멍이 있어 끈으로 매어져 슬롯 게임 꽁 머니.
④ 아왕쇠 :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후면에는 동그라미 안에 연꽃송이가 양각되어 슬롯 게임 꽁 머니. 이것은 화장도구를 상징한 것이라 하며, 이 꽃송이에 있는 꽃가루를 분으로 해서 손가락으로 묻혀다가 얼굴에 분칠을 한다고 한다. 세로 7㎝, 가로 4.5㎝이며 그 한 쪽 변에 구멍이 나 있어, 이 구멍을 통하여 끈으로 매어져 슬롯 게임 꽁 머니.
⑤ 뽀롱쇠 : 별을 상징한다고 하는데, 마치 작은 방울모양으로 되어 있다. 뽀롱쇠란 총알이라는 방언으로, 그 모양이 총알처럼 되어 있고 지름 2㎝이며, 한쪽 끄트머리에 구멍이 있어 그 구멍으로 꿰고 있다. 이상의 다섯 가지는 모두 구리로 되어 있으며, 이 다섯 가지가 어울려 소리를 울려 내는 하나의 무구(巫具)인 ‘슬롯 게임 꽁 머니’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악기들은 두들기거나 좌우로 흔들어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으나, 이 슬롯 게임 꽁 머니의 경우는 심방이 손에 들고서 위아래로 올렸다 내렸다 하는 과정에서 서로 마찰되어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들 무속악기로서의 슬롯 게임 꽁 머니가 지니는 거울의 요소들은 다시 그 모양이나 기능, 또는 장식문양에 따라 달리 명명할 수 있는데, 일광경(日光鏡) · 월광경(月光鏡) · 병경(柄鏡) · 방경(方鏡) · 성령(星鈴) 등으로 이름할 수 있다.
슬롯 게임 꽁 머니를 사용하는 기회는 큰굿을 할 때 초감제와 질침을 하여 신을 청하는 대목에 써왔고, 그밖에 굿판의 분위기가 산만해졌을 때에도 심방이 이를 들고 세 번 울려 분위기를 엄숙하게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슬롯 게임 꽁 머니가 없어져 굿에서 사용하는 일이 없다.
슬롯 게임 꽁 머니를 두는 장소로 심방들은 평소 자기집 안방 벽장 같은 데에 상설되어 있는 당주라는 신단에 이를 모셔두지만, 굿할 때에는 신공싯상에 올려두어서 필요한 대목에서는 이를 손에 들어 울린다고 한다.
슬롯 게임 꽁 머니는 뿌리 깊은 심방들 사이에서 주로 큰굿 때 신을 청하는 절차에서 사용하여온 무속악기의 한가지임을 알 수 있거니와, 이는 또한 제주도 무속의례가 제주도무속 나름대로의 한 특색을 지니고 있음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고대로부터 동아시아의 무속의 한 특색을 고스란히 지니면서 오늘날까지 면면히 이어 내려온 전통 있는 유속임을 말해주는 징표라고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