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슬롯 운문사 만세루 ( )

목차
관련 정보
청도 운문사 만세루
청도 운문사 만세루
건축
유적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는 조선후기 익공계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비디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는 조선후기 익공계 팔작지붕 형태의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내용

정면 7칸, 측면 3칸의 익공계(翼工系) 팔작지붕건물. 기단(基壇)은 막돌 기단으로서 비교적 건물에 비하여 낮고 건물 내부 바닥의 비디오 슬롯판이 일반적인 누각에 비하여 높지 않은 편이다.

주춧돌은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막돌초석이며 이른바 덤범주초 형식을 취비디오 슬롯 있다. 이 위에 원형인 민흘림의 긴 기둥을 세우고, 기둥 윗몸에는 창방(昌枋)을 끼워 고정시켰으며, 윗몸 위에는 비교적 굽이 낮은 주두(柱頭 : 대접 받침)를 놓고 2익공(二翼工)을 짜올렸다.

익공의 안쪽은 보머리[樑頭]로 대들보를 받치고 있는 간결한 형식을 취비디오 슬롯 있다. 처마는 모두 겹처마이며 추녀 끝에는 건물 4귀에 모두 활주(活柱 : 추녀 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를 세워서 안정되게 하였다. 내부의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고 천장은 서까래를 노출시켜 연등천장[椽背天障]으로 하였다.

가구형식(架構形式)은 정면 평주(平柱)와 측면 평주의 줄을 맞춘 격자 위에 고주(高柱) 없이 평주만으로 축(軸)을 이루고, 대들보나 퇴보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모두 한칸씩 짧은 평보를 걸고 그 위에 동자비디오 슬롯을 세운 다음 중보를 얹고 그 위에 다시 대공(臺工)을 세워 마루도리를 받게 하였다. 건물의 사면을 창호 없이 모두 개방한 것이 특징이다.

관련 비디오 슬롯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비디오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비디오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비디오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