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58m.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형 석등이다. 지표에 방형 지대석(地臺石)에 붙여서 꽃잎 속에 화형이 장식된 단판8엽의 복련석(覆蓮石)이 놓이고, 위슬롯 조작 뚜렷한 2단의 간석(竿石)받침이 조각되었다.
간석은 8각석주(八角石柱)로서 신라 석등의 공통된 형식이다. 상대석(上臺石)은 작아서 화사석[火舍石 :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과의 조화가 좋지 않으나 밑슬롯 조작 하대석(下臺石) 복련과 같은 화형(花形)이 장식된 단판8엽의 앙련(仰蓮)이 있으며, 위슬롯 조작 2단의 굄이 있다.
연판(蓮瓣)의 조각수법은 하대석의 슬롯 조작보다 훨씬 우수하다. 화사석은 손상이 있지만 8각 1석이고 4개의 장방형 화창(火窓)을 개설하였다.
옥개석(屋蓋石)도 8각이며, 이면 중심슬롯 조작 굄이 있고, 처마 밑은 수평이나 추녀 위슬롯 조작 경미한 반전(反轉)이 있다. 옥개석 정상슬롯 조작 8엽복련이 조각되었고 그 위에 연판이 조각된 보주(寶珠)가 얹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