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슬롯 머신 운모 ()

목차
관련 정보
문자
개념
한어의 음절에서 어두자음인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컫는 언어학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무료 슬롯 머신습니다.
목차
정의
한어의 음절에서 어두자음인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일컫는 언어학용어.
내용

한어의무료 슬롯 머신성모(Initial=I) · 개음(介音, 韻頭, Medial=M) · 주모음(主母音, 韻腹, Principal Vowel=V) · 운미(韻尾, Ending=E)와 같이 분석되는데, M+V+E를 무료 슬롯 머신라고 하며, 때로는 음절 전체에 걸리는 성조(聲調, Tone=T)까지도 무료 슬롯 머신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운미는무료 슬롯 머신으로 이루어진 것과모음(i, u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있는데, 이들을 각각 무료 슬롯 머신, Ev라고 한다면, 한어의 운모는 V만으로 이루어진 것, M+V, V+무료 슬롯 머신, V+Ev, M+V+무료 슬롯 머신, M+V+Ev의 여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V만인 것은 단모음, M+V와 V+Ev는 이중모음, M+V+Ev는 삼중모음을 이룬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중국음운학(中國音韻學)의 지식을 원용하여 15세기 조선한무료 슬롯 머신(朝鮮漢字音)과 중국의 무료 슬롯 머신(字音)을 분석할 줄 알았던 학자들은 한 음절을 초성·중성·무료 슬롯 머신으로 삼분(三分)하고, 이들 술어를 성모와 운모라는 술어 대신에 사용하였는데, 중성은 V, M+V, V+Ev, M+V+Ev를 말하고, 종성은 무료 슬롯 머신만을 뜻하였다.

그래서 『훈민정음해례』의 초성해(初聲解)에서는 “정음의 초성은 곧 운서의 자모이다(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라 하고, 중성해(中聲解)에서는 “중성은 자운의 가운데 있어서 초성과 무료 슬롯 머신을 합쳐 소리를 이룬다(中聲者 居字韻之中合初終而成音).”라고 하였으며, 무료 슬롯 머신해(終聲解)에서는 “종성은 초성과 중성을 이어서 자운을 이룬다(終聲者 承初中而成字韻).”라고 설명하면서 무료 슬롯 머신(子音, 즉 Ec)만 가지고 종성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모든 무료 슬롯 머신(字音)에는 초성 · 중성 · 종성이 갖추어져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였던 당시의 학자들은, 새로 정리한 『동국정운(東國正韻)』의 한무료 슬롯 머신 표기에 있어서는 Ec가 없는 운모들의 종성으로 한글의 ㅇ과 ㅱ을 첨기(添記)하여 Ec(子音으로 이루어진 종성)를 나타내도록 하였다(예 : 雞 ○ 高 ○).

그러면서도 『훈민정음해례』의 무료 슬롯 머신해에서는 “또 ㅇ은 소리가 맑고 비어 무료 슬롯 머신에 꼭 쓰지 않아도 중성으로 소리를 이룰 수 있다(且ㅇ聲淡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可得成音也).”라고 함으로써 15세기 중세국어의 표기에서는 ㅇ자를 종성으로 표기하지 않았으며, 훈민정음 창제 직후에 중국의 무료 슬롯 머신(字音)을 한글로 표음(表音)하기 위하여 편찬한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1455)에서도 ㅇ자를 종성으로 표기하지 않았다.

예로부터 한시를 지을 때 압운법(押韻法)을 필수조건으로 하였던 중국사람들은 한어의 음절, 곧 무료 슬롯 머신(字音)의 음절을 성모와 그 나머지 요소인 운모로 이분하는 방법을 발달시켜서 운모를 중심으로 하여 한시를 지어왔다. 또 이 이분법을 이용하여 후한(後漢) 때부터는 반절법(反切法)을 마련하여 무료 슬롯 머신(字音)을 표시하여왔다.

참고문헌

『동국정운연구(東國正韻硏究)』(유창균, 형설출판사, 1966)
『동국정운연구(東國正韻硏究)』(이동림, 동국대학교대학원, 1970)
『고대국어의 연구』(박병채, 고려대학교출판부, 1971)
『漢語音韻學』(董同龢, 廣文書局, 臺北, 1968)
『中國語音韻論』(藤堂明保, 江南書院, 東京, 1957)
『中國文化叢書』1-言語-(東京大修館書店, 1967)
『朝鮮漢字音の硏究』(河野六郎, 天理時報社, 天理,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무료 슬롯 머신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무료 슬롯 머신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