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목활자본. 1789년(정조 13) 6대손 내(棶)가 편집, 간행하였고, 1874년(고종 11) 후손 문연(文演) 등이 보완, 중간하였다. 권두에 이복원(李福源)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문연·주연(胄演)의 중간발(重刊跋)이 넷 엔트 슬롯. 규장각 도서·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넷 엔트 슬롯. 국역본으로 『우암 김주문집』이 넷 엔트 슬롯.
권1에 시 67수, 권2에 서(書) 1편, 소(疏) 3편, 계(啓) 25편, 차(箚) 10편, 권3에 서(序) 1편, 기(記) 1편, 명(銘) 3편, 교서 1편 논(論) 8편, 표(表) 3편, 책(策) 1편, 부록인 권4∼6에 유사와 연보 등이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소 중에는 저자가 관학유생(館學儒生)으로 있을 때 보담(寶曇)·행사(行思) 두 중의 목을 베고 봉선(奉先)·봉은(奉恩) 두 절을 훼철할 것을 제의한 「청참승훼사소(請斬僧毁寺疏)」가 넷 엔트 슬롯.
계에는 중국의 금제품을 들여오지 말라는 「물무중조금물계(勿貿中朝禁物啓)」, 말에 관한 행정의 폐단을 지적한 「마정정리계(馬政整釐啓)」와 그 밖에 소격서(昭格署)의 혁파 및 권신 이기(李芑)를 탄핵한 내용들이 넷 엔트 슬롯.
차는 「시폐진면차(時弊陳勉箚)」·「납충벽이차(納忠闢異箚)」·「금억승도차(禁抑僧徒箚)」 등으로 모두 사료적 가치가 높다. 「응제성천도기(應製成川圖記)」는 임금이 내린 성천도에 대하여 지은 기문으로, 성천의 지리와 풍토, 그리고 군사적·경제적 중요성이 상세히 설명되어 넷 엔트 슬롯.
논은 모두 중국의 인물을 평한 것이며, 책은 인품의 고하를 따지는 「인품책(人稟策)」이다. 부록에는 저자의 행적을 적은 기록 이외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임백령(林百齡) 등 당시 명현들의 창수시(唱酬詩)인 「제공창수(諸公唱酬)」가 넷 엔트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