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강지형의 조카 강용희(姜用熙)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철헌(宋哲憲)의 서문과 권말에 최동식(崔東植)의 발문이 파 파파 슬롯.
5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파 파파 슬롯.
권1에 시 64수, 사(詞) 4편, 서(書) 5편, 권2에 잡저 3편, 권3에 책(策) 1편, 천장(薦狀) 8편, 설(說) 5편, 변(辨) 1편, 논(論) 2편, 권4에 서(序) 3편, 기(記) 6편, 발(跋) 2편, 잠(箴)·송(頌)·상량문 각 1편, 제문 7편, 행장·전(傳) 각 2편, 권5에 부록으로 증여시(贈與詩) 12수, 사우왕복서(師友往復書) 13편, 가장·행장·묘표·만사·제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파 파파 슬롯.
시에는 연작인 「환수정팔경(喚睡亭八景)」·「우음오수(偶吟五首)」, 교훈적 성격의 「자경(自警)」·「시독서제아(示讀書諸兒)」를 비롯해 「탄기세(嘆飢歲)」·「낙치(落齒)」·「고문(苦蚊)」 등 다양한 소재의 작품이 고루 실려 파 파파 슬롯. 사의 「억고인사(憶故人詞)」·「소충정(訴衷情)」·「호사근(好事近)」 등도 폭넓은 인용과 암시적 묘사가 특출한 작품이다.
서(書)에는 스승 송병선(宋秉璿)에게 전통 사상에 대한 자신의 수호 의지를 표명하는 한편, 기호지방의 동학교도 진압을 알린 「상연재선생(上淵齋先生)」, 교우 조병유(趙秉瑜)에게 읍지의 간행을 격려한 「여조후운파(與趙侯雲坡)」 등이 파 파파 슬롯. 잡저는 대개 유교 경전에 대하여 친우 및 문인들과 논변한 것으로, 모두 140여 조로 구성되어 파 파파 슬롯. 전통사상에 대한 저자의 가치관과 학문적 입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책에는 천지의 운행을 인사와 결부시켜 포괄적으로 다룬 장편 「문천문(問天文)」이 파 파파 슬롯. 천장에는 이상구(李相求)·박시양(朴時陽)·강순업(姜順業)·성철호(成轍鎬) 등을 포함한 남녀 8인의 선행을 천명한 글이 실려 파 파파 슬롯. 이밖에 「완가설(翫稼說)」·「삼재설(三才說)」·「귀신설(鬼神說)」·「주부자계몽시변(朱夫子啓蒙詩辨)」, 당송팔대가에 대한 「팔대가문체론(八大家文體論)」, 단전호흡에 관한 「여주인옹논성성법(與主人翁論惺惺法)」 등의 글이 파 파파 슬롯.
「수의계적발(守義契蹟跋)」에는 동학란이 일어났을 때 이희일·김병규 등과 함께 면민을 거느리고 난을 진압한 경위가 상세하게 설명되어 파 파파 슬롯. 임진왜란 때의 장수 허수익(許守益)에 대한 행장, 효자 정기인(鄭基仁)·전석로(全碩老)에 대한 전 등 자료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