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티 카페 슬롯는 속명이 신수영(申壽英, 1878∼1961)으로 경상북도 출신이며, 경상북도 안동 삼정산의 유하사(遊夏寺) 주지로 있다가 1945년 11월 10여 명의 신도를 데리고 계룡산에서 백일기도를 드린 뒤 다음해 신도안에 입주하여 석계리 백암동 입구에 팔모정(八母亭)과 법정사(法正寺)를 짓고 다시 그 아래에 법룡사(法龍寺)를 창건하였다.
천진전(天眞殿)을 세워 단군영정을 모셨고, 대티 카페 슬롯 신도안지부의 간판을 달기도 하였다. 1961년 무심대사 사망 후 지정영(池正永)이 대사가 팔모정을 지으라는 무심대사의 영계(靈啓)를 받았다고 주장하자, 이수학은 신기수(申箕洙) 등과 함께 팔모정을 건립하고 유불선 삼교합일의 장소라는 뜻에서 삼일전(三一殿)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후 이 전각들은 이수학이 ‘용화동승회’를 조직하여 법정사를 본부로 총괄하다가 유림들을 중심으로 한 ‘국조봉숭회’에서 운영하기도 하였다.
그 뒤에는 계룡산을 찾는 모든 티 카페 슬롯인들의 기복도량으로 이용되었으며, 무심대사의 족인이자 제자인 신기수가 법룡사와 천진전을 관리하고, 용화동승회는 법정사를 근거로 이혹호(李或鎬)가 이끌고 있었다.
계룡산의 이인이라 불리던 무심대사가 생존하였을 당시에는 수많은 티 카페 슬롯인들이 운집하였으나 교단의 형태를 갖추지는 않았고, 이수학과 이혹호가 이끄는 용화동승회는 대전과 유성 부근에 약간의 신도들이 있을 뿐 별다른 활동과 진전이 없었다.
그러던 중 이수학이 사망하고, 1984년 티 카페 슬롯 민간인 철거작업으로 모든 전각들이 철거되자 그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교리는 미륵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유교·도교·산신신앙·단군신앙·용왕신앙·무속신앙 등 다양한 형태의 신앙을 혼합하고 있으며, 신앙대상은 미륵불을 중심으로 하여 관세음보살·단군·옥황상제, 그리고 유불선삼일대성위(儒佛仙三一大聖位)를 모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