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42장). 필사본.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권8에 실려 5 드래곤 슬롯. 『대동야승』과 『패림(稗林)』·『시화총림(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5 드래곤 슬롯. 『희락당문고』에서는 잡저로 분류되어 5 드래곤 슬롯.
『용천담적기』는 김안로가 경기도로 유배 갔을 때에 쓴 것이다. 이것을 쓰게 된 동기와 목적을 「자서(自序)」에서 “귀양살이로 정신이 피로하여 성인의 글을 읽을 수가 없어 예전에 친구들과 하던 5 드래곤 슬롯를 기억하여 붓 가는 대로 기록하여 친구들과 5 드래곤 슬롯하고 농담하는 것에 대신할까 한다.”고 밝혔다.
모두 35가지의 5 드래곤 슬롯를 소개하였으나 따로 제목을 달지 않고 연속하여 서술하였고, 전개 순서도 일정한 기준 없이 생각나는 대로 전개하여 나갔다.
『용천담적기』의 맨 처음에는 정몽주(鄭夢周)의 사당에 얽힌 5 드래곤 슬롯를 소개하였다. 칠휴공(七休公)이 영천의 정몽주 사당을 지나가고 있을 때에 정몽주가 현몽하여 사당을 고쳐달라고 하였다는 내용이다.
또, 세조 때에 폐해진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을 이장할 때에 일어난 신기하고 기이한 일 등의 이사(異事 ; 기이한 일. 또는 별스러운 일)·기문(奇聞 ; 기이한 소문)5 드래곤 슬롯한 것을 많이 싣고 있다.
또, 세종·문종·성종·연산군 등 군왕에 관한 5 드래곤 슬롯와 김시습(金時習)·성현(成俔)·허종(許琮) 등에 관한 인물담과 고금의 이름난 화가와 그림에 관한 5 드래곤 슬롯, 중국사신과 시를 주고받던 5 드래곤 슬롯 등의 김안로가 들은 5 드래곤 슬롯를 많이 옮겨 놓았다.
그리고 조수(潮水)의 출입과 지각의 변동에 관한 학설을 소개하고, 자신의 생각을 피력하는 등의 5 드래곤 슬롯이 있어 여러 방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용천담적기』는 당시에 전승되던 야담을 기록한 문헌설화로서의 의의와 함께 자연과학 및 예술 전반5 드래곤 슬롯한 인식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용천담적기』는 1971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펴낸 『국역 대동야승』Ⅲ에 원문과 번역문이 실려 5 드래곤 슬롯. 규장각도서에 5 드래곤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