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용강집 ()

용강집
용강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이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넷 엔트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이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99년에 이이교의 조카 이준규(李峻奎)가 편집·간행하였다. 서명은 저자가 살고 있던 곳의 지명을 따서 지었다. 권두에 서상우(徐相雨)·서신보(徐臣輔)의 서문과 홍예모(洪睿謨)의 발문이 있고, 권말에 서정순(徐正淳)의 발문과 이기영(李基榮)의 서문이 넷 엔트 슬롯.

서지적 사항

3권 3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넷 엔트 슬롯.

내용

권1에 자서, 자경문, 거가잡의(居家雜儀) 6편, 자경제조(自警諸條) 28편, 권2에 자경제조 15편, 별록 14편, 권3에 상량문 11편, 권선문 3편, 단자(單子) 2편, 기(記) 14편, 서(序) 21편, 논(論) 1편, 의(擬) 3편, 용강시서(蓉岡詩序), 시 27수 등이 수록되어 넷 엔트 슬롯.

「거가잡의」는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사항을 효양(孝養)·교육(敎育)·여계(女誡)·화순(和順)·우공(友恭)·어복(御僕) 등 6개 조목으로 나누어 제시하면서, 옛날부터 있었던 사실이나 자신의 체험 등도 아울러 수록하였다.

「자경제조」는 조심(操心)·제성(制性)·입지(立志) 등으로 조목을 설정하였다. 대부분 효(孝)·제(悌)·충(忠)·신(信) 등 유교적인 윤리를 돈독히 하고, 학문을 권장하며, 불교와 무격(巫覡)을 배격하고, 주색을 경계하는 넷 엔트 슬롯이다. 그 중 특이한 것은 사농공상의 직분을 열거하고, 각각 직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광업조목(廣業條目)이다.

별록은 천문·지리·성수(星數)·복서(卜筮) 등의 원리를 설명한 뒤, 유술(儒術)을 강조하고 무격(巫覡), 그리고 복을 빌고 재앙을 쫓는 기양(祈禳) 등의 습속을 배척하는 넷 엔트 슬롯이다. 기에는 지방관아인 작청(作廳)·교련청(敎鍊廳) 등의 중수(重修) 내력을 밝힌 글이 여러 편 있다. 서(序)에는 각종 절목(節目)에 붙인 글이나, 작청과 군수고(軍需庫)에서 어려운 재정을 해결하고 백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각기 설치한 보역계(補役契)와 방포전(防布錢) 등의 연혁을 밝힌 글 등이 있다. 지방 관아의 운영과 관련된 글도 많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지식인의 사상, 지방 관아의 운영 및 각종 계의 실태 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 넷 엔트 슬롯 (2)
• 항목 넷 엔트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넷 엔트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넷 엔트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넷 엔트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