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 섀도 어 슬롯 강화리고분군은 남포특급시 섀도 어 슬롯 강화구역의 산기슭에 위치하며 1955년 11월 북한 고고학연구실과 미술사연구실이 공동으로 조사하였다. 이 고분군 중 제1호분이 발굴되었는데 분구는 원래 방대형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타원형으로 이지러져 있다. 섀도 어 슬롯 강화리 1호분은 돌방 위에 흙무지를 쌓아올린 벽화고분(壁畵古墳)으로 예전부터 왕의 섀도 어 슬롯 강화으로 여겨졌던 고분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리 1호분의 분구는 동서 길이 19.5m, 남북 길이 22.5m, 높이 3.5m이다. 돌방은 화강암 판석으로 축조되었고 벽면에는 8∼10㎝두께로 회칠을 하였다. 무덤 내부는 앞방〔前室〕의 중앙에 달려 섀도 어 슬롯 강화 널길(길이 1.3m, 너비 1.28m), 동서로 긴 장방형의 앞방(동서 4.39m, 남북 1.92m), 앞방과 널방 사이의 통로(길이 1.2m, 너비 1.34m), 네모모양에 가까운 널방(동서 3.28m, 남북 3.32m, 높이 2.84m)로 이루어진 두방섀도 어 슬롯 강화〔二室墳〕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가구에 있어 앞방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좌우 각각 1개의 보〔樑〕가 가로막아 천장부를 3구(區)로 나누었다. 중앙은 궁륭천장, 동쪽은 삼각굄천장, 서쪽은 평행삼각굄천장이며, 널방은 팔각굄천장이다. 널방의 구조에 있어 특이한 것은 네 벽 모서리 위에 나온 삼각굄돌을 떠받는 ‘X’자형 활기가 섀도 어 슬롯 강화 점이다.
벽화는 앞방과 널방 각 벽화 섀도 어 슬롯 강화에 회를 바른 위에 그렸다. 벽면에는 생활풍속을 보여주는 여러 장면과 사신(四神) 및 별자리〔星宿〕와 각종 무늬가 있다. 앞방의 남벽 동쪽에는 수렵도가, 나머지 벽면에는 대행렬도가 그려져 있으나 박락이 심해 전체 모습은 알 수 없다. 우교차(牛轎車) · 말탄사람〔騎馬人物〕 · 의장인물 및 철갑을 입고 창을 쥔 말탄사람,대각(大角)을 부는 기마악수(騎馬樂手) 등의 그림이 남아 있다.
통로의 동 · 서벽에는 문지기인 듯한 무인의 그림이 있다. 널방의 벽화는 네 벽의 중간에 연꽃 초롱무늬 띠를 돌려 벽면을 상 · 하로 구분하였다. 벽면 아랫부분에는 청룡(靑龍)·백호(白虎)·주작(朱雀)·현무(玄武)등의사신도와 네 모서리에는 장사상(將士像)을, 윗부분에는 북벽에 가거도(家居圖)를, 동벽에는 전각도(殿閣圖)를, 서벽에는 무인행렬도(武人行列圖)를, 남벽 동쪽에는 직녀도(織女圖) 등을 그렸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의 고임부에는 반리문(蟠螭文)과 보륜문(寶輪文)을 복합한 무늬 띠가 돌아가고 섀도 어 슬롯 강화에는 별자리를 표시한 붉은 점이 있다.
두방무덤의 대개가 생활풍속도를 중심으로 한 벽화분인데 반해 대안리 1호분은 두방무덤이면서 사신도가 벽면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어 생활풍속도에서 사신도로 이행되는 과도기 모습을 보여준다. 벽화내용을 기준으로 볼 때 대안리 1호분은 5세기 후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안리 2호분에도 벽화가 섀도 어 슬롯 강화 것으로 전해지나 그 내용이나 형태는 확실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