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 송악산 외제석원 ( )

목차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송악산(松嶽山)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가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송악산(松嶽山)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가 창건한 사찰.
내용

924년(태조 7)에 신중원(神衆院)과 함께 태조가 창건하여 왕실의 기도도량으로 고려 말까지 존립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다.

창건 이후 덕종은 1031년(덕종 즉위년) 9월과 1032년 정월과 9월에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렀고, 문종은 1046년(문종 즉위년) 12월에 그의 생일인 성평절(成平節)을 맞아 매년 생일마다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서 기상영복도량(祈祥迎福道場)을 열게 하였으며, 1047년에는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러서 설법을 들었다.

1085년(선종 2) 4월에는 선종이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렀고, 1098년(숙종 3) 정월에는 왕이 나한재(羅漢齋)를 베풀었으며, 1101년ㆍ1102년ㆍ1105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렀다. 예종도 매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렀으며, 1107년(예종 2)에는 다섯 번이나 들렀고, 1114년 4월에는 불정도량(佛頂道場)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의 문덕전(文德殿)에서 열었으며, 1120년 8월에는 3일 동안 『반야경』을 독송하게 하여 전염병을 물리치기를 기원하였다. 인종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거의 매년 들렀는데, 1140년(인종 18) 윤6월에는 친히 기우제를 올리기도 하였다.

의종 또한 자주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렀으며, 특히 1152년(의종 6) 2월과 9월에는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서 나한재를 베풀기도 하였다. 명종도 거의 매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렀는데, 1173년 윤정월과 1177년 8월에는 나한재를 베풀었다.

그 뒤 신종과 고종ㆍ원종 등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렀다. 특히,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을 자주 찾았던 고종은 몽고의 침입이 있자 1227년(고종 14) 10월에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 들러서 천황당(天皇堂)을 짓게 하고, 승리를 기원하도록 하였다. 또한, 충숙왕은 1313년 8월에 친히 소재도량(消災道場)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서 열어 천재(天災)의 소멸을 기원하였다.

그 뒤에도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에는 충목왕이 행차한 기록이 전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 말까지는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이 존립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은 신중원과 함께 창건된 이래 고려왕실의 안녕과 국난의 수호를 위한 기도도량의 구실을 충실히 하였던 사찰이며, 천재나 병란ㆍ질병 등이 있을 때 불력(佛力)과 제석천왕의 힘을 빌고자 하였던 호국사찰이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김위석(전 경북대학교, 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메이플 리프 캐릭터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