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 완주 송광사 소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및 복장유물 ( )

목차
관련 정보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조각
작품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후기 에 조성된 소조 불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완주 송광사 소조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完州 松廣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腹藏遺物)
분류
유물/불교조각/소조/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7년 08월 08일 지정)
소재지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송광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후기 에 조성된 소조 불상.
개설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석가여래(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 5.5m, 약사불(좌) 5.2m, 아미타불(우) 5.2m. 석가 · 약사 · 아미타불로 구성된 삼세불(三世佛)로서 전북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대형의 소조불[塑造佛: 진흙으로 만든 불상]이다. 그리고 이 불상의 복장에서 불경류, 후령통 등 다수의 복장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조성시주목록(造成施主目錄)」에 ‘숭정 14년’의 조상기가 있어 이들 불상이 1641년(인조 19)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조상기에는 주상(主上)과 왕비 전하의 만수를 기원함과 동시에 “世子邱下壽千秋 速還本國 鳳林大君增福壽亦爲還國(세자저하수천추 속환본국 봉림대군증복수역위환국)”이라 기록하고 있어, 당시 인조의 두 아들로 병자호란 때 포로가 되어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갔던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조속한 환국을 기원하기 위해 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을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의 제작은 당시 승장(僧將)이었던 각성(覺性)의 지휘로 이루어졌다.

내용

삼세불 각각은 수인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형식의 좌상이다. 머리는 예리하고 촘촘한 나발[螺髮: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이지만 육계[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의 윤곽이 불분명하다. 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 계주(中央髻珠)에 비해 정상 계주(頂上髻珠)는 작은 편이다. 얼굴은 넓적한 직사각형으로 크게 뜬 눈과 사다리꼴 모양의 두툼한 코가 인상적이다. 꽉 다문 작고 얇은 입가에는 밝은 미소를 머금었다.

밋밋한 가슴 등 신체는 볼륨이 약화되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 여기에 걸쳐진 옷자락은 도식화되었지만 그 흐름이 복잡하면서도 유려하여 소조불 특유의 질감이 돋보인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 어깨에 걸침]으로 착용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착의법과는 달리 옷깃이 왼쪽 어깨에서 흘러내려 복부를 돌아 오른쪽 어깨 위로 덮인다. 마치 옷을 착용한 뒤 오른팔을 소맷자락에서 빼낸 듯한 특징적인 모습이다.

가슴 위로 노출된 군의(裙衣)는 상단이 평행이고 세 겹으로 접혀졌으며 이를 묶은 허리띠는 두 줄로 규격화되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 도식적인 골주름이 새겨진 오른쪽과는 달리 가부좌(跏趺坐)한 왼다리 위에는 왼쪽 손목을 감싸고 흘러내린 옷자락을 물결형으로 드리워 변화를 주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

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의 석가불은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내려 손가락을 펴고 손바닥을 안으로 하여 땅으로 드리우는 손 모양을 맺었다. 왼손은 무릎 위에 놓고 장지와 약지를 구부려 엄지와 맞대었다. 약사불은 오른손을 가슴 위로 들고 왼손은 무릎 위에서 약호(藥壺)를 쥐었으며, 아미타불은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을 맺었다.

참고문헌

『전북문화재대관』도지정편(전라북도, 1997)
집필자
곽동석(국립중앙박물관, 조각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카지노 슬롯 머신 확률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