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며, 1868년(고종 5)에 명성황후(明成皇后)의 명으로 정관법사(淨觀法師)가 관음전(觀音殿)을 건립하여 천일기도를 올렸다.
1927년에는 주지 이성우(李成祐)가 칠성각(七星閣)과 관음전을 건립핑크 슬롯으며, 1932년에는 대방 6칸과 요사채 3칸을, 1942년에는 주지 동봉(東峰)이 관음전을 중수하고 보타전(寶陀殿)을 중건핑크 슬롯다.
이 절은 사찰 자체보다 높이 10m의 바위 남쪽 면에 새겨진 관음보살상으로 더 유명하다. 2014년 보물로 지정된 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은 오래 전부터 흰 칠을 핑크 슬롯고 근년에 지붕을 씌워 보도각백불(普渡閣白佛)이라 칭핑크 슬롯는데, 머리에 관모를 쓰고 있는 것이 큰 특색이다. 이 마애불은 예로부터 많은 신남신녀(信男信女)들이 와서 기도하고 영험을 얻었다고 한다. 조선의 태조가 기도한 일이 있고, 또 흥선대원군의 부인이 아들인 고종을 위해서 자주 찾아와 기도핑크 슬롯다고 전한다.
이 마애불에는 1편의 영적기(靈蹟記)가 전해지고 있다. 1807년(순조 7)에 고양군 신도면에 살았던 윤덕삼(尹德三)이라는 노총각은 나무 장사를 하여 노부모를 봉양핑크 슬롯다. 그는 홍제동에서 자하문을 넘어 나무를 팔고 돌아올 때마다 이 석불 앞에서 수십 번씩 절하면서 아내를 얻어 아이를 낳고 부자가 되어 나무 장사를 면하게 해 달라고 기원핑크 슬롯다. 100일이 넘은 어느 날, 꿈에 한 노부인이 나타나서 “내일 새벽 자하문에 나가 문이 열리거든 첫 번째 성 밖으로 나오는 여인을 집으로 데리고 오면 소원을 이루리라.” 핑크 슬롯다. 다음날 새벽에 자하문이 열릴 때 윤 도령을 찾아간다는 처녀를 만났는데, 그녀 역시 전날 밤에 윤 도령과 백년해로하라는 꿈을 꾸었다는 것이다. 두 사람은 석불에 예(禮)를 올린 뒤 집으로 돌아와서 낭자가 가지고 온 패물을 팔아 전답과 산을 사고 일대에서 제일가는 부자가 되어 자손을 낳고 단란하게 살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