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슬롯사이트 오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대사헌, 좌참찬,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서예가.
이칭
여완(汝完)
죽남(竹南)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7년(선조 20)
사망 연도
1666년(현종 7)
본관
동복(同福: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주요 관직
예조판서|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대사헌|좌참찬|판중추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국내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대사헌, 좌참찬,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서예가.
개설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여완(汝完), 호는 죽남(竹南). 오극권(吳克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옹원직장(司饔院直長) 오세현(吳世賢)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 오백령(吳百齡)이며, 어머니는 증 참의(贈參議) 고경룡(高慶龍)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18년(광해군 10)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주서(注書)를 거쳐 지평(持平) · 장령(掌令) · 필선(弼善) · 수찬(修撰) 등을 지냈다.

병자호란 뒤인 1639년(인조 17) 한성부판윤으로 주청부사(奏請副使)가 되어 심양(瀋陽)에 다녀왔다. 그 뒤 1643년 청나라 세조의 즉위에 즈음해 등극부사(登極副使)로, 1648년에는 동지 겸 정조성절사(冬至兼正朝聖節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50년(효종 1) 예조판서로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가 되어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형조판서 · 국내 슬롯사이트헌 · 우빈객(右賓客) 등을 거쳐 1660년(현종 1) 좌참찬이 되고, 이어 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문장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써서 왕가의 길흉책문(吉凶冊文)과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비롯한 수많은 공사(公私)의 비명을 썼다. 특히 왕희지체(王羲之體)를 따라 단아한 모양의 해서를 잘 썼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죽남당집』이 있다. 글씨로는 아산의 「충무공이순신비(忠武公李舜臣碑)」, 구례의 「화엄사벽암대사비(華嚴寺碧巖大師碑)」, 회양(淮陽)의 「허백당명조대사비(虛白堂明照大師碑)」 · 「이판이현영묘비(吏判李顯英墓碑)」, 광주(光州)의 「의창군광묘비(義昌君珖墓碑)」, 일본 닛코사[日光寺]의 「닛코산국내 슬롯사이트등로명(日光山朝鮮燈爐銘)」, 안성(安城)의 「대동균역만세불망비(大同均役萬世不忘碑)」, 죽산(竹山) 칠장사(七長寺)의 「벽응국내 슬롯사이트비(碧應大師碑)」 등의 비문이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청성집(靑城集)』
『동명집(東溟集)』
『죽남당고(竹南堂稿)』
『국내 슬롯사이트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삼전도비수립시말」(김성균, 『향토서울』12, 1961)
관련 국내 슬롯사이트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국내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국내 슬롯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국내 슬롯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국내 슬롯사이트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