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쿠폰 영한사전 ()

목차
문자
문헌
1891년 스코트(Scott, J.)가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 영한대역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머신 쿠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91년 스코트(Scott, J.)가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 영한대역사전.
내용

B5판. xxvi+345면. 슬롯 머신 쿠폰영국교회출판부(Corea :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에서 출판되었다. 완전한 이름은 ≪English-Corean -Dictionary- Being a vocabulary of corean colloquial words in common use≫이다.

슬롯 머신 쿠폰은 당시에 나온 다른 책과는 달리 각 장마다 얇은 간지가 끼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슬롯 머신 쿠폰은 언더우드의 ≪영한사전≫(1890)에 이어 나온 두번째의 영한사전이다.

서문에는 사전 편찬의 어려움 및 사전편찬의 방법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점을 들어 ‘outline’이란 말까지 붙여 보려고 했으나 간결을 위해 그냥 Dictionany를 썼다고 겸허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슬롯 머신 쿠폰은 이전의 ≪한불ᄌᆞ뎐≫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전사법에 의한 표기를 제시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슬롯 머신 쿠폰의 이용자가 한글을 아는 한국사람이기 때문이다.

슬롯 머신 쿠폰의 특징은 서문 다음에 실려 있는 ‘들어가기(lntroduction)’인데 이는 20면의 장편논문이다. 이 글은 한국사람의 문자생활에 대한 역사적 개관으로부터 시작하여 자음·모음·이중모음 등의 음운론과 동사·형용사 등의 문법론 및 계통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슬롯 머신 쿠폰의 한자음은 중국 및 중국문학의 발원지인 산동(山東)지방의 음을 가장 충실히 보존하고 있다. 오늘날의 중국방언 가운데서 슬롯 머신 쿠폰음과 가장 가까운 것은 광동음(廣東音)이다.

② 한글을 표기하는 로마자는 불란서 선교사들의 ≪한불ᄌᆞ뎐≫과 ≪조선어문법≫의 것을 따른다.

③ 슬롯 머신 쿠폰어의 계통을 인도 드라비다말과 결부시키는 일이 없지 않으나 문법의 구성 원리가 비슷하다고 하여 같은 계통으로 보는 것은 불합리하다.

④ 슬롯 머신 쿠폰어의 음절구성과 문법조직이 일본어와 비슷하다고 하여 같은 계통의 언어로 볼 수 없다. 일본어가 순수히 교착적인 데 대해 슬롯 머신 쿠폰어는 교착과 굴절의 두 성질을 공유하고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다.

⑤ 슬롯 머신 쿠폰인은 단일민족이 아니며 유형상으로 볼 때 만주족과 일본족이 주류를 이룬다. 전설과 역사를 추적하면 슬롯 머신 쿠폰인의 원주지는 숭가리강(Sungari)의 상류였는데 점차 남하하여 한반도를 점령하고 원주민을 동화하였다는 내용이다.

스코트는 1881(고종 18)∼1891년 사이 제물포에 주재하였던 영국부영사인데 애스턴(Aston.W.G.)과 함께 한국에 와서 1892년까지 머물렀다. ≪영한사전≫과 함께 본서의 자매편인 ≪언문말ᄎᆡᆨ 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with lntroductory Grammer≫이 있다. 슬롯 머신 쿠폰은 1887년에 초판이, 1893년에 재판이 나왔다.

참고문헌

『增補·補注朝鮮語學史』(小倉進平, 東京 : 刀江書院, 1964)
『력대슬롯 머신 쿠폰문법대계』(김민수, 하동관, 高永根 공편, 塔出版社, 1997∼1986)
「『영한사전』발견기사」(장두성, 『중앙일보』 1979.11.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머신 쿠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머신 쿠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머신 쿠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