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슬롯 감독재(현, 국가민속슬롯 감독유산)로 지정되었다. 19세기말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20세기 중반에 중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와 사랑채, 그리고 문슬롯 감독와 헛슬롯 감독가 사방에 배치되어 작은 규모이지만 제법 넓은 안마당을 만들고 있으며 초가집으로서 제대로 구색을 갖추고 있다.
안동지방의 □자 형식과는 다른 각각의 독립된 집 네 채가 거의 정방형의 중정을 이루고 있는데, 서향한 안채가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한다.
문슬롯 감독의 서쪽 끝에대문이 있고, 이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으로 사랑채가 보이고 우측으로 헛슬롯 감독가 바로 이어지며 마당을 지나 좌측으로 안채가 자리를 잡고 있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아담한 규모인데 전퇴가 있는 一자형의 집이다. 북쪽으로부터 부엌1칸 반,안방1칸,대청 1칸, 건넌방 1칸의 순으로 되어 있고 맨끝의 반 칸이 툇슬롯 감독이다.
전퇴는 안방 앞에서 시작하여 남쪽 끝까지 놓여 있다. 상당히 높은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 주초를 놓고 기둥을 세웠다. 기단은 자연석을 서로 이맞추어 허튼층쌓기로 하였으며, 안방과 부엌 전면에 각각 계단을 설치하였다.
구조는 일고주오량(一高柱五樑)으로 전퇴부분의 상부에 걸린 퇴보는 거의 人자형으로 구부러진 나무를 이슬롯 감독여 홍예보와 같은 모양을 내었는데, 이렇게 퇴보를 구부러진 모양으로 한 것은 그 밑을 지나다닐 때 되도록 높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되어 있는데, 사랑방 2칸, 작은방 1칸, 슬롯 감독1칸 그리고외양간이 1칸이다. 외양간은 전면으로 반 칸을 달아내어 판벽으로 벽체를 막았고, 그 안쪽은 사랑방과 작은방에 불을 때는 아궁이에 연결되고 있다.
2칸으로 된 사랑방은 중간에 네 짝 미닫이를 달아놓았다. 그 옆에 붙어 있는 슬롯 감독방과의 사이에도 네짝 미닫이를 달아 필요시 넓게 쓸 수 있도록 하였다.
헛슬롯 감독는 정면 5칸, 측면 2칸인데 지금은 지붕을 양기와로 얹어놓았지만 원래 초가였으며, 한쪽에 광이 있고 다른 한쪽에 측간이 있으며, 중심부를 헛간으로 사슬롯 감독고 있다. 문간채는 정면 3칸 반에 측면 1칸 반으로 대문간 옆에 구들이 있고 그 옆에 마루방이 있는데, 이 마루방은 전면을 네 짝 문으로 해놓았다.
전면의 반 칸을 슬롯 감독로 하였고 측면의 반 칸도 슬롯 감독를 설치하여놓았다. 후원에는 대나무 숲이 우거졌고, 주변에 잘 자란 나무들이 시원하게 해주고 있다. 부엌 뒤의 장독대가 대나무 숲 바로 앞에 자리를 잡아 청결한 감을 주고 있다. 조선 말기 남부지방의 전형적인 부농 가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