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킹 슬롯다. 높이 2.31m. 금당 앞의 석축 위에 있으며, 석축 바로 앞에는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보물, 1968년 지정)이 서 있다.
킹 슬롯은 단면이 8각인 신라 킹 슬롯의 전형적인 양식에서 가운데받침돌인 간주(竿柱)만 사자로 대신한 모습이다. 아래받침돌은 위아래 2단으로 이루어졌다. 제법 높은 8각의 아랫단에는 각 면마다 사자로 보이는 짐승이 1마리씩 웅크린 모습으로 돋을새김되어 있고, 역시 높직한 윗단에도 1장의 꽃잎이 위로 솟은 복련(覆蓮)의 연꽃무늬가 각 면마다 1개씩 돋을새김되었는데, 연꽃잎 안은 또 다른 꽃무늬로 장식되었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래받침돌 윗단과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곧 아래받침돌 윗면에는 각지고 둥근 굄이 있고, 그 위에 8각 기둥 대신 2마리의 킹 슬롯가 조각되어 있다. 2마리 킹 슬롯는 가슴을 맞댄 채 마주 선 모습인데, 머리를 위로 들어올리고서 뒷발을 아래받침돌의 윗단 위에 올리고 앞발은 들어서 윗받침돌을 받들었다. 갈기와 꼬리, 몸통의 근육 등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지만, 다리에 손상이 많아서 아쉬움을 준다.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의 윗단처럼, 꽃잎 속에 또 다른 꽃무늬가 장식된 1장의 꽃잎이 위로 솟은 앙련(仰蓮)의 연꽃무늬가 각 면마다 1개씩 돋을새김된 모습이다.
불을 켜 놓은 부분인 8각의 화사석(火舍石)은 하나의 돌로 조성킹 슬롯다. 4면에만 길고 네모난 화창(火窓)이 뚫려 있는데, 화창의 주위에는 문을 달았던 흔적인 작은 구멍이 남아 있다. 나머지 4면에는 서 있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이 돋을새김킹 슬롯다. 지붕돌은 평박(平薄)한 편으로, 처마 밑은 수평이며 추녀 위에는 귀꽃이 붙어 있다.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는 모두 없어졌다.
이 킹 슬롯은 1933년경에 일본인들이 운반하여 가져가려다가 들켜서 가회면사무소에 보관하였는데, 1959년에 원래의 자리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다리가 손상된 것이나 조각이 쓸려 닳은 것은 이때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보은 법주사 쌍사자 킹 슬롯(국보, 1962년 지정)에 견줄 수 있는 뛰어난 모습의 킹 슬롯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