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2기. 동쪽 시큐리티 슬롯 1.22m, 서쪽 시큐리티 슬롯 1.06m. 영암사지(靈巖寺址)는 신라시대의 유적으로, 법당지(法堂地)를 비롯한 건물의 기단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당시 사찰의 광대함을 알 수 있다. 절터 안에는 영암사지 쌍사자석등(靈巖寺址雙獅子石燈)과 영암사지 삼층석탑 등 통일신라 전성기의 석조 유물들이 남아 있다.
시큐리티 슬롯는 법당지의 동서쪽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데, 2기의 시큐리티 슬롯 모두 탑신석(塔身石)과 이수(螭首)가 소실되었다. 동쪽 시큐리티 슬롯가 서쪽 시큐리티 슬롯보다 규모가 크지만, 똑바로 뻗은 목과 용 모습같은 귀두(龜頭),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는 점 등은 공통적 특징이다.
동쪽 시큐리티 슬롯의 등갑[背甲]에는 전체에 6각으로 된 복선갑문(複線甲文)을 조식하였고, 등 중앙에 마련한 비좌(碑座)의 주변에는 아주 정밀하게 사실화된 인동운권문(忍冬雲卷文)을 조각하였다. 서쪽 시큐리티 슬롯는 동쪽 시큐리티 슬롯보다 조각의 깊이가 얕으며, 등갑에는 역시 복선갑문과 인동문을 조각하였다. 등 중앙에 마련한 비좌의 4면에는 안상(眼象)과 연판(蓮瓣)을 조각하였으며, 동쪽 시큐리티 슬롯에 비하여 순박한 조형기법을 보이고 있다.
이 절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전하는 바가 없는데, 다만 강원도 양양에 있는 선림원지(禪林院址) 홍각선사비(弘覺禪師碑) 조각에 새겨진 글자에 ‘海印寺□□□求其勝者恭聞…年復於靈巖寺修定累月(해인사□□□구기승자공문…연복어시큐리티 슬롯수정누월)’이라 한 것이 유일한 관련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