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망 슬롯 머니 상 영남각읍교원서책록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문헌
조선후기 영남 각 지역에 소장된 도서를 각 소장처별로 기록한 목록집. 서목.
이칭
이칭
경주부교원서책목록
• 본 항목의 피망 슬롯 머니 상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영남 각 지역에 소장된 도서를 각 소장처별로 기록한 목록집. 서목.
내용

1책. 필사본. 경주를 비롯한 영남 각지의 향교·피망 슬롯 머니 상·사당(祠堂)·서재(書齋) 등에 소장되어 있던 장서의 피망 슬롯 머니 상이다.

편성순서에 따른 수록 피망 슬롯 머니 상은 경주부가 향교 79종, 서악피망 슬롯 머니 상(西岳書院) 95종, 옥산피망 슬롯 머니 상(玉山書院) 213종, 숭렬사(崇烈祠) 39종, 합 426종이다. 안동부(安東府)가 삼계피망 슬롯 머니 상(三溪書院) 15종, 호계피망 슬롯 머니 상(虎溪書院)6종,사빈피망 슬롯 머니 상(泗濱書院) 7종, 합 28종이다.

상주부가도남피망 슬롯 머니 상(道南書院)3종,옥성피망 슬롯 머니 상(玉成書院) 7종, 근암피망 슬롯 머니 상(近巖書院) 23종, 합 33종이다. 성주목이 회연피망 슬롯 머니 상(檜淵書院) 12종, 무흘서재(武屹書齋) 99종, 합 111종이다. 전체 598종인데, 그 중 경주부가 압도적인 수를 차지하고 성주목이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선조·광해군 때의 학자 정구(鄭逑)의 장수지소(藏修之所)인 성주목의 무흘서재에 99종이나 되는 많은 장서가 있으며, 중종때의 현신(賢臣)이언적(李彦迪)을 향사한경주 옥산피망 슬롯 머니 상에 사서오경(四書五經), 『성리대전(性理大全)』 등 15종의 선사지서(宣賜之書)가 소장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관심을 끈다.

피망 슬롯 머니 상의 기술방식은 각 지역에 산재한 소장처에 소장된 도서를 각 소장처별로 기록하였는데, 먼저 소장처의 향사자를 적고 이어 장서의 서명과 권수를 열거하고 있다. 그리고 경주부를 제외하고 안동부 · 상주부 · 성주목의 경우에는 편저자명도 아울러 기술하였으며, 간혹 해당 도서의 내용 · 유래 · 소장자 등을 소개하였다.

이 피망 슬롯 머니 상의 편찬연도는 명문이 없어 확실한 것은 알 수 없지만 본문 중에 1798년(정조 22)에 초간본을 낸 권문해(權文海)『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20권이 저록되어 있으므로 대체로 그 이후에 편찬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피망 슬롯 머니 상의 서명을 권수제(卷首題)에 따라 ‘경주부교원서책피망 슬롯 머니 상(慶州府校院書冊目錄)’이라 하기도 하나 이는 이 피망 슬롯 머니 상 전체의 서명이 아니라 앞에 있는 경주부 부분만의 부분 서명이므로 피망 슬롯 머니 상 전체의 서명은 표제(表題)에 따라 『영남각읍교원서책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 항목 피망 슬롯 머니 상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피망 슬롯 머니 상,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피망 슬롯 머니 상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