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 염불회 ()

목차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염불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염불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법회의식.
내용

이 법회는 다복 이 슬롯공덕에 의하여 살아서는 편안한 생활을 하고 죽어서는 극락에 왕생(往生)할 것을 원하여 행하는 법회로써 그 유래는 '다복 이 슬롯결사'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다복 이 슬롯결사는 8세기 중엽 경덕왕 때의 발징(發徵)에 의하여 개설되었는데, 고성군 원각사(圓覺寺)에서 신자 1,000여 명을 모아 결사, 노력(努力)과 정수(精修)의 두 무리로 나뉘어 1만 일을 기약하고 수행하였다. 이 다복 이 슬롯결사를 미타만일회(彌陀萬日會)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다복 이 슬롯회에서 행하는 다복 이 슬롯의 형식은 구칭다복 이 슬롯(口稱念佛)과 관상다복 이 슬롯(觀想念佛)이 있고, 시한을 정하여 행하는 백일다복 이 슬롯회·천일다복 이 슬롯회·만일다복 이 슬롯회 등이 있다.

만일다복 이 슬롯회는 신라시대부터 있었고 조선 후기에는 건봉사(乾鳳寺)에서 행하였다. 이 경우 다복 이 슬롯수행의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계(契)를 조직하여 행한다. 구칭다복 이 슬롯은 입으로 ‘나무아미타불’을 소리 내어 다복 이 슬롯하는 것을 말하고, 관상다복 이 슬롯은 아미타불이나 극락정토의 모습을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는 두 가지 다복 이 슬롯이 동시에 성행하였고, 조선시대까지 그와 같은 경향이 있었으나 현재에는 구칭다복 이 슬롯만 성행하고 있다. 구칭다복 이 슬롯에는 혼자서 아니면 여러 사람이 ‘나무아미타불’을 계속 소리 내어 부르는 일반적인 구칭다복 이 슬롯과 도사(導師)의 선창에 이어 대중의 후창으로 다복 이 슬롯하는 장엄다복 이 슬롯(莊嚴念佛)이 있다.

장엄다복 이 슬롯은 도사가 아미타불과 극락정토의 여러 모습을 선창하면 대중이 다같이 후창으로 ‘나무아미타불’을 다복 이 슬롯하는 형식을 취한다. 장엄다복 이 슬롯의 형식은 중국에 있었던 신라사원인 적산원(赤山院)에서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

구칭다복 이 슬롯 때에는 북이나 광쇠 등을 반주악기로 사용하며, 의식무(儀式舞)를 수반하기도 하고, 나아가서는 예능적 민속행사를 낳기까지 하였다. 「산다복 이 슬롯(山念佛)」·「회심곡(回心曲)」 등은 그 소산의 하나이다.

1950년대까지 다복 이 슬롯회는 다복 이 슬롯당(念佛堂)을 중심으로 한 수행법으로 크게 성행하고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수행법으로서의 다복 이 슬롯회가 거의 사라지고 영혼천도의식 때 행하는 다복 이 슬롯회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범음집(梵音集)』
『석문의범(釋門儀範)』
집필자
홍윤식(동국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