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칭코 슬롯 연행록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군관 최덕중이 청나라에 다녀온 후 1712년에 작성한 견문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군관 최덕중이 청나라에 다녀온 후 1712년에 작성한 견문록.
내용

1712년(숙종 38)에 저자가 동지 겸 사은사(冬至兼謝恩使) 부사(副使) 윤지인(尹趾仁)군관으로정사(正使) 김창집(金昌集), 서장관(書狀官) 노세하(盧世夏)를 따라 청파칭코 슬롯에 다녀오면서 쓴 일기이다. 그 해 11월 1일부터 다음해 3월 30일까지 5개월 간의 기록이다. 권두 · 별록 · 일기로 구분되어 있다. 권두에는 저자가 부사 윤지인의 군관이 되어 동행하게 된 감회를 기록하였다. 별록은 청파칭코 슬롯에 가서 행한 의식을 제목을 달아 설명한 것이다.

예컨대 입책식(入柵式)이란 만주 봉황성(鳳皇城)에 들어가는 절차를 기록한 것이고, 입경하정(入京下程)이란 청나라에서 조선 파칭코 슬롯에게 공급하는 물품과 수량을 적은 것이다. 이 밖에도 심양교부분납(瀋陽交付分納) · 표자문정납(表咨文呈納) · 홍려시연의(鴻臚寺演儀) · 조참의(朝參儀) · 하마연(下馬宴) · 방물세폐정납(方物歲幣呈納) · 황제연공예물(皇帝年貢禮物) · 노정기(路程記) · 동행록(同行錄) · 영상의(領相儀) 등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 파칭코 슬롯의 목적은 조선과 청나라간에 이루어진 네 가지 일에 대한 사은과 전통적인 동지사를 겸한 것이었다. 즉, 1644년(인조 22) 이후부터는 1년에 네 번 보내던 종전의 정기파칭코 슬롯을 단일화해 삼절 겸 연공사(三節兼年貢使)란 이름으로 동지에 보내도록 했는데 바로 이 파칭코 슬롯에 해당된다. 네 가지 사은이란 1712년에 확정시킨 백두산정계비의 건립, 예단을 줄여 방물로 바꾸도록 한 일, 금(金)의 진공을 없애고 표피(豹皮)를 감한 일, 청나라의 국경을 넘어간 파칭코 슬롯 백성에 대한 조사를 면제한 것 등이다.

일기는 비교적 자세히 쓰여졌으며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종래 파칭코 슬롯의 사대부는 청나라 파칭코 슬롯를 적대시하고 우리 파칭코 슬롯의 우월성을 내세웠다. 그러나 당시 중국에는 주1의 치세로 파칭코 슬롯가 극도로 융성하기 시작해 대청관이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이와 같은 점은 이 책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한편 청의 문금(門禁)이 한층 강화되어 모든 사행은 일정한 길을 경유, 정한 장소만을 유람하도록 했으며 문인들끼리의 문답도 저지했는데 종전에는 없던 일이었다. 이 사행의 다른 기록으로 김창업『연행일기(燕行日記)』가 있다.

참고문헌

『연행일기(燕行日記)』(김창업)
『국역연행록선집』 Ⅲ(민족파칭코 슬롯추진회, 1976)
『한국사-근세후기편-』(진단학회, 을유파칭코 슬롯사, 1978)
주석
주1

중국 청파칭코 슬롯 성조(聖祖) 때의 연호(1662~1722). 이를 본떠 성조를 강희제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파칭코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파칭코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