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g 슬롯 여산송씨 족보 ( )

목차
관련 정보
가족
문헌
국가유산
조선시대 문신 송일이 1610년에 간행한 여산송씨의 족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rtg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송일이 1610년에 간행한 여산송씨의 족보.
내용

편집자는송언신(宋言愼), rtg 슬롯자는송일(宋馹)이다. 분량은 1책, 판종은 목판본이며, 표제와 권수제 모두 ‘여산송씨rtg 슬롯’이다.

체제는 표지, 서문, 후서(後序), 보도(譜圖), 발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시기 다른 rtg 슬롯에서 흔히 보이는 범례, 부록은 없다.

송언신의 서문(1606)에 따르면, 여산송씨는 가전되어 온 주1이 있었지만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소실되었다고 한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송언신은 rtg 슬롯 편찬을 위해 주2에 수소문하여 보첩을 구하였고, 어렵사리 송원경이 rtg 슬롯한 보첩을 입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송원경의 보첩은 기본적으로 내용이 소략한데다 주3을 자세하게 rtg 슬롯하고 오히려 주11은 소략하게 다룬 불완전한 것이었다.

이에 송언신은 여러 rtg 슬롯를 참고하여 자신의 친필 초고본을 작성해 두었으나 간행에 이르지는 못했다. 서문의 연대가 1606년인 것으로 보아 초고본이 완성된 것도 이 해로 생각된다. 그러던 중 1610년 주12 송일(宋馹)청주목사로 부임하여 rtg 슬롯 간행에 따른 경비조달 문제를 해결하자 자신의 주4본을 전달하여 간행케 한 것이 바로 이 rtg 슬롯이다. 송일의 발문에 따르면, 당진현감 송요인(宋堯訒), 단양군수송선(宋瑄), 전의현감 송빙(宋騁) 등이 족보간행에 협조한 것으로 되어 rtg 슬롯.

후서는 바로 송언신이 이러한 rtg 슬롯의 경위를 서술한 것으로 송언신 친필의 주5로 판각되어 rtg 슬롯. 이 후서의 말미에 ‘후손 호봉 송언신 편집(後孫壺峯宋言愼編輯)’, ‘후손 석곡 송일 재행(後孫石谷宋馹榟行)’이라는 기록이 있어 편집자와 간행자를 분명하게 알 수가 rtg 슬롯.

보도는 6층 횡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표는 천자문의 순서가 아닌 숫자로 일련번호가 매겨져 있어 다른 족보와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rtg 슬롯.

자녀는 출생순으로 등록하고 있어 이른바 선남후녀(先男後女)의 유교적 형태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주6는 엄격하게 구분하여 서자(첩자)일 경우는 이름 위에 ‘첩자’라 표기하였다. 주7한 경우에는 이름 위에 ‘계자(繼子)’라 표기하였고, 후사가 없으면 아름 아래에 쌍행으로 ‘무후(無後)’라 표기하였다. 이성(異姓)은 사위와 외손 2대에 한하여 수록되어 있으며, 주기에 있어서도 이름과 관직만 간단하게 기록되어 rtg 슬롯.

각 인물의 주기(註記)는 개인에 따라 주8이 심한 편이다. 자(字), 호(號), 과거(科擧) 사항, 관직(官職) 사항, 주10 사항, 묘소(墓所) 위치와 주9 등이 상술된 경우도 있고, 이름만 기록하거나 생원, 진사, 문과 등의 과거 사항이나 관직 사항만 부기도 경우도 있다. 이 족보는 여산송씨족보의 초간본이라는 점에서 rtg 슬롯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여산송씨rtg 슬롯(礪山宋氏族譜)』(경술보)
주석
주1

rtg 슬롯로 된 책.우리말샘

주2

한 조상에서 내려온 성과 본이 같은 일가(一家). 우리말샘

주3

성이 다름. 또는 다른 성. 우리말샘

주4

자기가 손수 쓴 원고. 우리말샘

주5

필획을 가장 흘려 쓰는 한자의 서체. 획의 생략과 연결이 심하다. 전서(篆書), 예서(隷書)를 간략히 한 것으로 행서(行書)를 더 풀어 점획을 줄여 흘려 쓴 것인데, 초고(草稿)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6

적자와 서자, 또는 적파와 서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양자로 대를 잇게 함. 또는 그 양자. 우리말샘

주8

상세함과 간략함.우리말샘

주9

묏자리나 집터 따위를 등진 상태에서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방향. 우리말샘

주10

남편과 아내가 다 죽었을 때에 그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한 조상에서 내려온 성과 본이 같은 일가(一家). 우리말샘

주12

성과 본이 같은 사람들 가운데 유복친 안에 들지 않는 조카뻘이 되는 사람.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rtg 슬롯는 자유 이용 가능한 rtg 슬롯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