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행악에 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되었던 곡이다. 일명 「경록무강지곡(景籙無彊之曲)」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만(慢)」이라고도 한다. 현전의 만은 당피리가 중심이 되는 관악합주의 음악으로 전 10장으로 되어 있다. 각 장은 11∼12마루로 이루어지고 1마루의 길이는 짧게는 2박에서 가장 길게는 9박으로 들쭉날쭉하다.
기본적으로 1음이 1박의 시가를 가지고 있으나 각 마루의 마지막 음은 배장(倍長)된다. 한편,『세종실록』에 의하면 왕의 출궁시에는 「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만」을, 환궁시에는 「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령」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세종실록』권140에 전하는 「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은『속악원보(俗樂原譜)』 권4의 「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만」과 동일하여 「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만」의 원곡임을 알 수 있다.
전 10장의 『세종실록』의「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은「용비어천가」의 한문시를 사용하고 가사는 16 정간마다 1자씩 배치되어 있으며 궁(宮, 潢)에서 시작하여 하오(下五, 黃)로 마친다. 장구점 1점은 8정간마다 붙어 있고, 장구점 7점마다 박(拍)을 치는데 박을 4번(가사 16자)칠 때 하나의 장구형이 완성된다.
이러한 장구형과 사설붙임은 고취악(鼓吹樂)이 갖는 특징이다. 현전의 「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만」은『속악원보』 권6의 「만」을 이어받은 것인데, 그 선율선은『세종실록』의「플래시 슬롯 머신 게임」과 같지만, 그 리듬은 변하여 1음이 대개 1정간의 길이를 차지하는 등 시가의 박절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