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뜻 어골문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암사동 출토 빗살무늬토기
서울 암사동 출토 빗살무늬토기
공예
개념
토기 · 도자기 등의 표면에 주로 표현되는 물고기의 뼈와 같은 무늬. 빗살무늬.
이칭
이칭
빗살무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뜻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토기 · 도자기 등의 표면에 주로 표현되는 물고기의 뼈와 같은 무늬. 빗살무늬.
내용

본래는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빗살슬롯 뜻토기[櫛文土器]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슬롯 뜻 형식인데, 그것은 마치 빗살[櫛齒] 같은 시문 도구(施文道具)로 그어서 나타낸 것이라 하여 빗살슬롯 뜻라고도 부른다.

빗살무늬토기에는 촘촘하게 이빨이 있는 무늬 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 무늬를 베푼 다양한 무늬를 나타내고 있으나, 신석기시대의 가장 특징적인 무늬는 슬롯 뜻 양식이다. 최고(最古)의 빗살무늬토기는 부산 동삼동 패총의 중층(中層)에서 비롯된다.

슬롯 뜻은 구연부(口緣部)의 짧은 사선(斜線)무늬 띠 밑 기복부(器腹部)에 새겨졌는데, 그 모양은 평행 사선문대(平行斜線文帶)로 상하 두 줄의 띠를 사선 방향으로 서로 바뀌도록 배치하여 생선뼈 비슷한, 이른바 슬롯 뜻을 시문(施文)한 것이다.

이 무늬 형식을 횡주슬롯 뜻(橫走魚骨文)이라 하며, 평행 사선문대를 좌우 두 줄의 띠로서 사선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한 것을 종주슬롯 뜻대(縱走魚骨文帶)라 부르고 있다.

이 토기의 직선적·추상적인 슬롯 뜻는 남방 농경지대(農耕地帶)의 곡선적(曲線的)인 슬롯 뜻와는 전통을 달리하고 있는데, 그것은 북방 수렵어로(狩獵漁撈) 주민의 미술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슬롯 뜻은 7, 8개의 사선으로 띠를 이루고 그것을 ‘V’자 모양으로, 또는 ‘<’ 모양으로 연속시켜서 이루어진다. 그렇게 구성, 전개된 무늬는 토기 이외에도 골각기(骨角器) 등 각종 출토 유물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

참고문헌

『슬롯 뜻와 청동기』(한병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슬롯 뜻고고학개설(韓國考古學槪說)』(김원룡, 일지사, 197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뜻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뜻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뜻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