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약자 ()

목차
관련 정보
문자
개념
본자(本字)의 자획을 쓰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m 2 슬롯(略字)는 본자(本字)의 자획을 쓰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이다. m 2 슬롯의 형성은 대개 필기체에서 노력경제의 의식으로 나타나게 되며, 보편화되면 점차 인쇄체에도 파급되는 경향을 띠게 된다. 구결은 생략이 심한 m 2 슬롯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자의 m 2 슬롯는 문헌상 목판본·지도 등에 많이 쓰였다. m 2 슬롯는 정자(正字)에 대한 속자(俗字)의 성격을 지닌다. 정자의 기준은 『강희자전』에서 채택한 자전체이며 속자는 이 자전의 이체자(異體字)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m 2 슬롯는 정중한 표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손으로 쓴 글씨, 신문이나 출판물에서 m 2 슬롯를 사용하고 있다.

목차
정의
본자(本字)의 자획을 쓰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
내용

모든 문자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시차소(示差素)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시차소가 곧 주1이다. 한글자체에서는 ‘ㅅ : ㅈ : ㅊ, ㅏ : ㅓ, ㅑ : ㅕ’ 등의 대립에서 보이는 자획의 차이가 그것이나, 이것은 훈민정음 창제 몇 년 후 『석보상절』에서 |‧ →ㅏ , 15년 후 『월인석보』에서 · →ㆍ, 이윽고 ᄾ→ㅅ, ㅈ→ᅎ등의 필기체와 같은 자형이 되었다. m 2 슬롯의 형성은 대개 필기체에서 노력경제의 의식으로 나타나게 되며, 보편화되면 점차 인쇄체에도 파급되는 경향을 띠게 된다.

획이 많은 한자는 예로부터 m 2 슬롯가 쓰였다. 특히 구결(口訣)은 매우 간략한 m 2 슬롯로 사용되며(예 : 厓→厂, 爲→丷, 羅→亽 등), 근래에 발견된 『구역인왕경(舊譯仁王經)』의 석독(釋讀)은 14세기초의 필기로서 m 2 슬롯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예 : 衣→ラ, 隱→フ, 所→ケ, 乎→ノ 등). 이것은 일본문자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자의 m 2 슬롯는 문헌상 목판본 · 지도 등에 많이 쓰였다. 가령, 『고려대장경』의 断(斷), 来(來), 纯(純), 隠(隱), 尒(爾), 聽(聽) 등, 『삼국유사』의 倹(儉), 軽(輕), 礼(禮), 庙(廟), 弥(彌), 釈(釋), 与(與), 済(濟), 号(號) 등, 『전운옥편』의 个 介(箇), 与(擧), 乱(亂), 耒(來), 仏(佛), 岳(嶽), 从(從), 処(處), 扦(𫾔) 등,

『대동여지도』의 関(關), 覌(觀), 旧(舊), 国(國), 皈(歸), 楽(樂), 恶(惡), 岺(嶺), 灵(靈), 竜(龍), 発(發), 过(邊), 変(變), 宝(寶), 双(雙), 駅(驛), 㭗(鬱), 仅(儀), 鉄(鐵), 疂(疊), 弹(彈), 学(學) 등이 그것이다. 그 m 2 슬롯의 구성은 부분생략(예 : 声, 点, 経, 㷌, 普 등)과 주2 대용(예 : ○, 丮, 万, 介, 旧 등)으로 구분된다.

m 2 슬롯는 정자(正字)에 대한 속자(俗字)의 성격인데, 정자의 기준은 이른바 『강희자전』에서 채택한 자전체이며, 속자는 이 자전의 이체자(異體字), 즉 동자(万=萬), 고자(仏←佛), 속자(叙←敍), 통자(注←註), m 2 슬롯(岩←巖)의 일종이다.

m 2 슬롯는 공문서나 상대의 성명과 같은 정중한 표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m 2 슬롯라도 중국이나 일본처럼 표준자체로 제정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오늘의 편리를 위해서 우리에게도 m 2 슬롯제정이 절실하다.

한편, 한글전용자들은 m 2 슬롯의 편리가 한자사용을 조장한다고 보아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1967년 11월 문교부(지금의 교육부) 국어심의회에서 그 m 2 슬롯심의가 있었는데, 실제로 그러한 반대에 부딪쳐 실패로 돌아간 예가 있다. 그러나 주3은 물론, 신문을 비롯한 출판물까지도 많은 m 2 슬롯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실정이다.

참고문헌

『강희자전(康熙字典)』
『왜해정와(倭楷正訛)』
『국어핸드북』(김민수, 일조각, 1960)
『국어정책론』(김민수, 고려대학교출판부, 1973)
「宋元以來俗字譜」(劉復共·李家瑞 編, 『中央硏究院歷史言語硏究所 單刊甲種』 第3本, 北京, 1930)
「한자(漢字)의 m 2 슬롯화(略字化)를 반대한다」(최현배, 『세대』 5-7, 1967.7.)
「中·韓·日三國漢俗字攷」(成元慶, 『反攻』 320, 臺北, 1967.10.)
「신문용(新聞用) m 2 슬롯(略字)(시안) 선정 경과보고」(김두찬, 『어문연구』 9-2, 1981.10.)
「한자m 2 슬롯(漢字略字)의 사견(私見)·사안(私案)」(박로춘, 『어문연구』 9-2, 1981)
「중공(中共) 간화자(簡化字)에 대한 한국속m 2 슬롯(韓國俗略字)와의 비교고찰」(성원경, 『어문연구』 9-2, 1981)
「한자의 간화자(簡化字)에 대한 한중(韓中)(中共)비교고찰」(성원경, 『국어국문학』 86, 1981.12.)
주석
주1

한 언어의 문자 체계에서 음소를 표시하는 최소의 변별적 단위로서의 문자 혹은 문자 결합. 예를 들어 음소 /p/를 표시하는 데 m 2 슬롯되는 pin의 p, hopping의 pp, hiccough의 gh는 모두 한 자소의 구성원이다. 우리말샘

주2

사물 전체의 모습이나 형상. 우리말샘

주3

손으로 직접 쓴 글씨. 우리말샘

집필자
김민수(고려대학교, 국어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